[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91] 유목민들은 왜 바다로 갔나? 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석규 칼럼니스트
입력 2017-11-21 09: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 = 배석규 칼럼니스트]

▶ 바다로의 출발점 적수담

[사진 = 적수담의 선박(그래픽)]

바다로 향하는 쿠빌라이의 구상은 대담하고도 도전적인 것이었다. 대도의 건설을 구상하면서부터 그 곳을 해상교통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으로 이용한다는 점을 염두에 뒀다면 쿠빌라이는 새로운 몽골제국이 나아갈 미리 정하고 그 청사진에 따라 제국을 운영해간 탁월한 제왕임에 틀림없다. 쿠빌라이의 구상은 적어도 초원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육지에서 펼쳐졌던 그때까지의 국가 운영 방향을 바다와 연결시켜 새롭게 펼쳐가겠다는 포부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몽골제국은 커다란 전환점을 맞고 있었다.

이는 곧 군사 초강대국인 동시에 경제와 통상의 초강대국으로의 변신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대도는 내륙 속에 거대한 항구를 껴안고 있는 도시였다. 항구는 바다와 연결되고 세계로 연결돼야 비로소 항구라는 이름이 붙여질 수 있다. 대도성 내 북서쪽에 거대하게 만들어진 인공호수 적수담! 그 것은 바로 바다로의 출발점이었다.

▶ 숲과 건물로 채워진 적수담 옛 터

[사진 = 적수담 수로]

바다로 향하는 내륙의 항구 적수담이 있었던 자리의 상당부분은 흙으로 메워지고 일부분은 호수로 남아 있다. 적수담의 흔적으로 남아 있는 세 개의 작은 호수의 이름은 서해(西海)와 후해(後海) 그리고 전해(前海)다. 이 호수의 이름은 남쪽으로부터 남해와 중해 북해의 연장선상에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 작은 호수는 아니지만 과거 그 자리에 있었던 적수담이 지금의 북해보다 두 배 크기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부분이 흙으로 메워졌다는 얘기가 된다. 메워진 부분은 거리와 숲 그리고 건물로 채워져 있었다.

▶ 창평서 끌어들인 물로 저수지 채워
쿠빌라이가 대규모 호수를 파기 시작할 당시 그 자리에는 금수하(金水河)라는
하천이 지나가고 있었다. 이 하천도 금나라 시절 주변 옥천산의 천수를 끌어들여 인공적으로 만든 물길로서 금나라는 이곳의 산수를 다듬어 황실 어원을 만들었다. 쿠빌라이의 공학참모 곽수경은 1,292년 이곳에 거대한 저수지를 파는 작업에 착수했다. 저수지 물은 기존의 금수하 물길을 이용해 멀리 창평(昌平) 일대에서 끌어 들였다.

북경의 북쪽에 있는 창평은 기원전 시대 만번한(滿番汗)이라는 이름으로 연 나라와 번조선의 국경선이었던 곳인 것으로 국내 일부 사학자가 추정하고 있다. 지금은 북경시의 외곽 현으로 변해있지만 당시로서는 상당한 거리의 대도성까지 물길을 내는 작업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호수가 당시 옹산박(瓮山泊) 혹은 서해(西海)로 불려 지기도 했던 적수담이었다. 적수담을 만드는 작업과 대도에서 연결되는 수로를 건설하는 작업은 거의 동시에 추진이 됐다.

▶ 몽골제국 심장이 된 경제특구
적수담의 동북쪽과 종루 고루가 있는 사이에는 여러 종류의 시장과 경제관청이 들어섰다. 말하자면 적수담을 이용한 경제특구가 만들어진 셈이다. 적수담 물길을 이용한 운송체계가 만들어지고 경제특구가 형성되면서 이슬람 상인을 비롯한 외국 상인들이 이곳에 터전을 잡기 시작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적수담을 기점으로 방대한 규모의 물자와 사람들이 세계로 들고 나는 새로운 시스템을 창출해 냈다는 점에서 적수담과 그 주변은 몽골제국의 심장이자 세계의 심장 역할을 했다.

몽골족이 초원으로 물러간 뒤 들어선 명나라도 자금성으로 터전을 옮기기는 했어도 초기에는 적수담을 기점으로 하는 도시 내항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그것도 영락제 때까지의 일일 뿐 그 이후 명나라는 해상진출과 해상발전을 해금(海禁) 이라는 이름으로 막으면서 바다 쪽을 외면했다. 몽골족이 애써 마련해 놓은 경제와 교역 중심의 시스템은 쇠퇴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고 자연히 적수담을 기점으로 하는 바다로의 뱃길도 끊어져 버리고 말았다.

▶ 적수담 자리에 송경령기념관

[사진 = 적수담 수로(그래픽)]

경제특구가 만들어졌던 옛 적수담 자리에서 가장 눈에 띠는 곳은 송경령(宋慶齡)의 주거지 자리에 들어서 있는 송경령 기념관이다. 그녀는 중국 근대혁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손문의 부인으로 지난 1981년 숨졌다. 그녀의 동생인 송미령(宋美齡)은 중국 국민당 총재이자 나중에 대만의 총통이 되는 장개석의 마지막 부인이다. 이들 자매의 얘기는 책으로 소개되기도 했고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국공합작 방침으로 중국 공산당과 손을 잡은 손문이 죽고 난 뒤에도 송경령은 공산당과 함께 행동해 부주석까지 올랐고 죽기 직전에는 초대 명예 국가 주석이 되기도 했다.

호수 아래쪽으로는 60년대 유명한 중국 경극의 연출가인 매란방(梅蘭芳)기념관이 자리 잡고 있었다. 옛 적수담과 그 주변의 기능을 짐작할 수 있는 흔적은 찾기가 어려웠다. 정작 적수담과 관련된 흔적은 호수가 있었던 자리보다 호수의 물길이 성 밖으로 빠져 나와 통주(通州)로 달려가는 쪽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 고궁 주변을 둘러싼 수로

[사진 = 북경 하수도 수로]

북경의 고궁 주변에서는 반듯하게 흐르는 수로를 자주 만나게 된다. 어디에서 나와서 어디로 연결되는 지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대부분의 수로는 궁궐에서 나와 외부로 흘러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자금성의 주변에도 성벽을 따라 길게 수로가 둘러쳐져 있다.

▶ 도심에서 만난 적수담 수로

[사진 = 적수담교 표지판]

대도성 안에 있었던 종루와 고루를 지나 북쪽으로 몇 백 미터 정도 가다보면 그 곳에서도 하나의 수로를 만나게 된다. 덕성문(德胜門)이라 이름이 붙어 있는 성문이 하나 서 있는데 수로는 그 성문을 감아 돌아 도심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그 수로 위로 돌다리가 지나가고 있다.
 

[사진 = 통혜하]

돌다리의 한쪽 끝에 세워진 도로 표지판에서 낯익은 지명을 하나 만났다. 적수담교(積水潭橋)! 바로 적수담에서 흘러나와 통주로 연결되는 통혜하(通惠河)라고 부르는 수로였다. 남아 있는 수로는 적수담 자리에 있는 서해의 바로 위쪽에서 시작돼 동쪽으로 길게 달려가고 있었다.

▶ 기능을 잃어버린 통혜하 수로

[사진 = 통혜하 수로]

일정하게 3-40미터의 폭으로 만들어진 인공 운하는 돌을 쌓아 직각으로 만들어졌고 수면에서 1미터 남짓 되는 지점에서 다시 직각으로 꺾어지면서 3-4미터 정도 폭의 단이 수로 양편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 그 단에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심어진 수양버드나무가 자신의 몸을 길게 수로 쪽으로 늘어뜨린 채 이어지고 있었다.

과거 많을 때는 하루 수백 척의 작은 배들이 이곳을 통해 적수담으로 들고났던 바로 그 수로였다. 거대한 호수와 연결됐던 수로는 지금은 어디에선가 물길이 끊겨 운하라기보다는 도심의 개천처럼 변해 있었다. 수로의 물은 오염 탓으로 검푸른 색깔을 띠고 있었다.
 

[사진 = 고기 잡는 중국인(통혜하)]

그도 그럴 것이 수로는 일종의 하수 처리장 역할도 하고 있었다. 수로의 군데군데에는 도시의 하수도가 연결돼 있고 주변의 생활용수가 흘러들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비록 옛 기능을 모두 잃어버리기는 했지만 통혜하의 모습을 도심 한 가운데서 찾아낼 수 있었다는 것만 해도 다행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