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한국ESG기준원 평가 '23년 C등급, 25년 A등급' 3년 연속 상승

  • 이중 중요성 평가·이사회 중심 지배구조 강화, ESG 체계 성숙도 제고

대동이 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한 ‘2025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우수을 받았다 사진대동
대동이 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한 ‘2025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우수)을 받았다. [사진=대동]

대동은 미래 농업 선도기업으로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5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우수)을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는 국내 상장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 수준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대동은 주요 부문에서 균형 있는 개선을 이루며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올해 평가에서 환경(E) 부문은 B+에서 A로, 지배구조(G) 부문은 B에서 B+로 등급이 상승했으며, 사회(S) 부문은 지난해에 이어 A+를 유지했다.
 
이어 대동은 2023년 C등급에서 2024년 B+, 2025년 A등급까지 3년 연속 등급을 끌어올리며 ESG 경영 고도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환경 부문에서는 제품 모든 과정 평가(LCA) 추진 전략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동은 올해 6개 대표 모델에 대해 LCA를 먼저 시행했으며, 2026년까지 내부 역량을 확보하고 2027년부터는 자체 수행 체계를 전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어 2030년까지는 모든 수출 모델에 LCA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규제 대응을 넘어 글로벌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라는 설명이다.
 
대동은 LCA를 통해 제품의 원재료 채취부터 제조, 유통, 사용, 폐기까지의 전 생애주기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제품 개발 단계에 체계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친환경 설계, 자원 효율성 개선, 환경정보 투명성 강화 등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고객·이해 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를 이끄는 제조 지도력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인정 항목 수가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하며 등급이 상승했다. 이사회 내 보상위원회, 사외이사추천위원회 등 주요 위원회를 설치하고 운영 체계를 강화해 이사회 중심의 투명성과 독립성을 강화한 점이 특히 주효했다.
 
또한 대동은 '이중 중요성 평가'를 실시해 기업 활동의 사회·환경적 영향과 지속 가능성 이슈의 재무적 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공시 기준, 업계 ESG 추세, 주요 고객 요구, 내·외부 이해관계자 의견 등을 종합하여 12개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슈별 영향·위험·기회를 정밀 분석했다.
 
대동은 이중 중요성 평가 결과 중 상위 3대 중요 이슈를 중심으로 관련 활동과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를 향후 기업 전략 수립에 반영해 ESG 경영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 할 계획이다.
 
이종수 대동 경영기획부문장은 "대동은 이번 평가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 전 부문에서 의미 있는 개선을 이루며, ESG 경영 체계가 한 단계 더 성숙해졌음을 확인했다"며 "LCA 내재화와 ESG 공시 고도화 체계를 기반으로 글로벌 수준의 지속 가능 경영 경쟁력을 갖춰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동은 ISSB, KSSB, ESRS 등 글로벌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ESG 보고 체계를 수립 중이다. 국내 ESG 공시 의무화와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결 기준의 지속 가능성 정보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ESG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