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활약의 다음 무대로 남미 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2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억3000만달러(약 6조793억원)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 수입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향수(23.1%), 헤어 케어 제품(19.4%)이 뒤따랐다.
국내 뷰티 업계의 대남미 수출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수출액 7020만달러(약 1033억3400만원)를 기록하며 2020년 1530만달러(약 225억2160만원)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세부 수출 품목은 화장품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샴푸‧린스 등 헤어케어 제품이 6.5%로 집계됐다.
국가별 수출 비중은 브라질(45.0%)이 가장 많았고, 칠레(23.2%), 콜롬비아(9.4%), 페루(8.0%) 등 순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남미 뷰티 수입국에서 한국은 13위로 기존 순위(17위)보다 상승했다. 같은 기간 수입 시장 점유율도 0.7%에서 1.6%로 확대됐다.
무협은 "남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K-뷰티 브랜드를 대상으로 현지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품목별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화장품은 성능 중심에서 친환경성·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가치 중심 전략이 뒷받침돼야 할 시기라고 분석했다.
헤어케어 및 치약 제품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숏폼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향수는 커피·코코넛 등 이색 원료를 활용한 틈새시장 공략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