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5극3특’을 내걸고 국가 균형발전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공공기관 2차 이전과 인공지능(AI) 산업단지, 데이터벨트 구축이 지역균형발전의 관건으로 꼽힌다.
이재명 정부는 공공기관 2차 이전을 국정과제에 포함해 120여 개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9월 ‘2차 공공기관 이전 실행지원 용역’을 발주했으며, 내년 9월께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할 방침이다.
10일 충북도 등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앞두고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유치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특히 1차 이전에서 제외됐던 충청권은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기관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충북도는 공공기관 2차 이전으로 지난해 기준 159만 명인 충북 인구가 2030년 170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도는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중점 유치대상 기관 31곳을 선정하고 국토부와 지방시대위원회 등을 상대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이 확정된 부산시는 해수부 유관기관까지 함께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해양수산 관련 연구기관은 물론 산업은행 본점 등을 부산으로 옮겨와야 해수부 이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지자체들은 공공기관 유치를 통해 인구 유입과 세수 증가 등 경제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1차 공공기관 이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만큼 이번에는 성공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 중앙부처 및 관계기관과의 접촉을 늘려가고 있다”며 “지역 특성에 맞는 기관을 유치해 인구 감소 등 현안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AI 대전환을 통해 산업 현장에 AI를 본격 도입하고 지역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신사업 기회를 창출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에 발맞춰 지자체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울산시는 미포국가산업단지 내에 SK아마존의 100MW급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며, 앞서 국가 AI데이터센터를 조성한 광주시는 ‘국가 AI연구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AI 산업이 다양한 영역의 연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발전하는 만큼 클러스터 육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쟁력 있는 AI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수요 측 정책을 강화해 현재 추진 중인 자원·인프라 공급 정책과의 균형을 이루는 ‘양손잡이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공공부문의 공공 AX(인공지능 전환) 성공사례를 확산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안전성·신뢰성·투명성 기준이 높은 공공부문에서 선도 사례를 만들어낸다면 민간 영역으로의 AX 전환도 한층 수월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정준화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공공 AX 선도 사례를 창출·확산해 민간 AX 수요를 촉진해야 한다”며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전략적으로 자원·자본·인프라를 집중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함으로써 기업이 유연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