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 10명 중 6명, 산업 대신 '문화·관광 중심 도시' 원한다

  • 문화·관광 기반 중심 도시 전략 전환 필요 여론 다수

  • 청년층은 편의 개선과 문화 인프라 투자 희망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이 6일 부산 시민 1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 미래전략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년 뒤 바람직한 부산의 도시 이미지로 해양 K-관광·문화도시를 선택한 비율이 608로 가장 높았다 사진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이 6일 부산 시민 1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 미래전략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년 뒤 바람직한 부산의 도시 이미지로 '해양 K-관광·문화도시'를 선택한 비율이 60.8%로 가장 높았다. [사진=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
부산 시민 다수는 향후 부산의 발전 방향을 세계인이 찾는 해양 K-관광·문화도시로 전환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이 6일 부산 시민 1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 미래전략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년 뒤 바람직한 부산의 도시 이미지로 '해양 K-관광·문화도시'를 선택한 비율이 60.8%로 가장 높았다. 

반면 '산업·물류 중심 전통 공업도시' 응답은 19.6%에 그쳤다.

문화·관광 중심도시 추진에 대한 동의도 88.3%로 높았다.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는 '문화·관광 도시로의 전환'이 63.1%로 1위였고, 부산의 성장 전략으로는 '해양축제와 K-컬처를 결합한 도시브랜드 강화'가 46.5%, 'K-콘텐츠·관광산업 육성'이 28.8%로 뒤를 이었다. 제조·물류 중심 경제 유지 응답은 20.4%였다. 

우선 투자 분야에서도 문화·관광 기반 확장을 중심으로 한 도시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확인됐다. 

'교통·주차·숙박 등 관광 편의 개선'이 39.4%로 가장 높았고, 'K-컬처 인프라 투자'가 38.7%를 마크했다. 제조·항만·물류 인프라 투자는 19.2%였다.

특히 청년층은 편의 개선과 문화 인프라 투자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광 분야 투자의 지역경제·일자리 창출 효과에 대해서는 76.5%가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 의원은 10일 오전 10시 부산 광안신협 신사옥 6층에서 '가자! 문화관광수도 부산' 정책토론회를 연다고 9일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토론자로 참석하고, 청년 창작자, 지역 상인, 예술인, 관광업 종사자 등 시민 10여 명이 참여해 현장의 문제와 정책 전환 방향을 직접 논의한다. 좌장은 정 의원이 맡는다.

정 의원은 "부산의 관광은 '오는 도시'에서 '머무는 도시'로 전환해야 한다는 시민 인식이 분명하게 나타났다"며 "부산의 힘은 거대한 시설이 아니라 그곳을 살아온 사람들의 시간이 만든다"고 말했다.

이어 "박형준 시장과 함께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 부산이 세계인이 찾는 해양 문화관광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