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테크] 금리 인하 막차, 잡기 힘든 특판상품만 우루루…예금 대신 '채권' 전략

  • 은행 특판 20% '눈속임'…복잡한 우대금리·소액 불과

  • 주식 어렵다면, 올해 마지막 상호금융 비과세+채권 전략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11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고금리 예·적금의 막차 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정작 괜찮은 상품은 이미 마감됐거나 조건이 까다롭다. 금리 인하 전 마지막 고금리를 잡으려는 소비자 발길이 은행 창구로 몰리며 '막차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특판 문의는 하루에도 수십 건씩 쏟아진다"며 "단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시중은행에서 가장 높은 예금 금리를 제시한 곳은 신한은행이다. 신한은행은 오는 9일까지 최고 연 20% 금리인 '오락실 적금'을 판매 중이다. 매주 최대 10만원씩 8주간 저축할 수 있으며 고객이 모바일 게임을 통해 쌓은 점수에 따라 우대금리를 차등 적용한다. IBK기업은행 'IBK 랜덤 게임 적금'도 게임 성적에 따라 최고 연 15% 금리를 제공한다. 이 밖에도 △전북은행 'JB 슈퍼씨드 적금' 최고 13% △하나은행 '오늘부터, 하나적금' 최고 7.7% △우리은행 '우리WON모바일 적금' 최고 7.0% 금리를 제공한다.

저축은행에서는 OK저축은행 'OK트라이적금', 웰컴저축은행 '웰컴라이킷적금' 등이 이벤트 금리를 포함해 최대 연 20%까지 제시하고 있다. 다만 은행을 포함한 저축은행 특판은 우대금리 조건이 복잡하거나 소액 한도 내에서만 적용된다. 

금리 인하 국면에서 주식 투자 등을 기피한다면 실질적으로 눈여겨볼 곳은 상호금융권이다. 새마을금고·신협 등에서는 조합원 가입 후 출자금을 내면 최대 3000만원까지 이자소득세(14%)가 면제된다. 농어촌특별세 1.4%만 부담하면 되기 때문에 실질 수익률이 은행·저축은행보다 높다. 현재 태인·부평제일·동광 새마을금고, 광주어룡·면곡 신협 등은 12개월 만기 연 3.1~3.5% 예탁금을 판매 중이다.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데다 세제 혜택까지 있어 실효 수익률 격차가 크다.

1000만원을 연 3.3% 상호금융 상품에 넣으면 이자 33만원 중 농어촌특별세 4620원만 내고 32만5380원을 받는다. 반면 일반 은행 예금은 세금 4만6200원을 제하면 28만3800원을 받아 연 4만1580원 차이가 발생한다. 3000만원을 넣으면 일반 은행 대비 연 12만원 이상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특히 올해가 완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해다. 2026년부터 총급여 5000만원 초과 준조합원은 5% 세율이, 2028년에는 9% 세율이 적용된다. 연말까지 가입해야 온전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예금 금리 하락이 가시화되면서 예금 대신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자산으로 시선이 옮겨가고 있다.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예금 금리는 빠르게 하락하지만 채권의 세계는 정반대로 움직인다. 금리가 내릴수록 이미 발행된 채권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현재 연 3.5% 금리로 발행된 채권은 금리가 떨어지면 더 높은 이자를 주는 상품으로 평가돼 가격이 상승한다. 따라서 지금은 금리 인하를 앞둔 '채권 매수의 초입 구간'으로 평가된다. '예금의 막차가 떠나면 채권의 시간은 돌아온다'는 이야기도 있다. 단기채·국채 중심으로 접근하면 금리 하락에 따른 평가이익까지 노릴 수 있다. 

MMF(머니마켓펀드)는 파킹통장과 비슷한 초단기 투자상품이다. 단기채권·기업어음 등 비교적 안전자산에 투자해 예금보다 약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한다.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지만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어서 원금은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단기 채권 ETF(상장지수펀드)는 금리 0.25%포인트 인하 시 약 1~2%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예금 대신 채권형 자산으로 일부 자금을 옮겨두는 것이 금리 인하 수혜 포트폴리오의 핵심 전략이다. 

장기 자금이라면 변액보험도 대안으로 꼽을 수 있다. 10년 이상 유지 시 이자소득세가 비과세되고, 펀드처럼 운용돼 금리 하락기에도 수익을 노릴 수 있다. 최근 3년간 변액보험 평균 수익률은 주식형 기준 연 5~7% 수준으로 단기 예금보다 높다. 다만 해지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최소 10년 이상 묶어둘 수 있는 자금만 투입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예금 금리는 빠르게 하락하지만 채권과 변액보험 수익률은 개선된다"며 "지금은 예금 막차를 놓쳤다고 아쉬워할 게 아니라 금리 인하 수혜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할 적기"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