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AI수석 "엔비디아, 한국을 시작점으로 피지컬 AI 전환 추진…양측 모두 윈윈할 것"

하정우 AI수석 사진연합뉴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 [사진=연합뉴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3일 엔비디아의 대규모 GPU(그래픽처리장치) 공급 결정과 관련해 “엔비디아가 한국을 시작점으로 해 피지컬 AI(인공지능) 산업 전환을 추진할 것”이라며 양측 모두에 도움이 되는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 수석은 이날 JTBC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엔비디아가 재작년부터 피지컬 AI 분야를 준비해왔다. 투자 수익을 뽑아내야 하는데 한국이 너무 좋은 성공 케이스가 될 수 있겠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도 중국의 제조업 발전으로 경쟁력에 대한 고민이 되게 많은데, AI 전환으로 경쟁력을 높이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수 있어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AI가 온라인 세상에서 물리 세계로 나오며 공장 등에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게 될 것”이라며 “피지컬 AI는 공장과 제조업 시스템이 아주 잘 돼 있는 곳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피지컬 AI는 로봇·자율주행차·공장 자동화 설비 등 물리적 장치가 사람의 지시 없이 스스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 수석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을 전하며 “(황 CEO가) '미국은 소프트웨어는 정말 강한데, 제조업 공장이 부실하고, EU(유럽연합)의 독일 같은 나라는 공장이 잘 돼 있지만 소프트웨어가 좀 아쉽다. 그런데 한국은 두 부분 다 경쟁력이 있더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엔비디아의 GPU 공급 확대가 국내 AI 인재 유출을 막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 수석은 “(인재들이) 왜 나가나. 처우 문제를 빼면 GPU가 없기 때문”이라며 “굳이 해외 빅테크에 가지 않고 국내에서도 충분히 연구·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꼬인 실타래 중 매듭 하나를 푼 것”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