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과 국제사회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1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12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본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와 재래식 전력 현대화는 역내 평화와 국제 비확산 체제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 국방부는 확고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강력한 억제력을 유지하되, 동시에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병행하는 ‘투트랙 접근’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제시한 ‘END 구상’(Exchange·Normalization·Denuclearization, 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을 언급하며 “북한 비핵화와 남북 간 신뢰 회복을 위한 한국의 노력이 주변국의 지지와 협력을 통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아세안의 중추를 이루는 믈라카 해협과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은 모든 국가의 공동 이익”이라며 “특히 해상 교통로에 에너지와 무역의 대부분을 의존하는 한국에게는 생명선과도 같은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역내 해상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아세안과 함께 자유롭고 개방된 해양 질서 유지를 위해 적극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해 회의에는 아세안 11개 회원국과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 호주, 뉴질랜드 등 8개 파트너국 국방장관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과 둥쥔 중국 국방부장 등 미·중 양국 인사도 나란히 참석해, 남중국해와 한반도 안보를 둘러싼 다자 대화가 이뤄졌다.
안 장관은 회의 기간 중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과의 첫 회담도 진행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최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축하하며, 다음 주 한국에서 열리는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다시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에 “한미 정상회담의 합의를 실질적 국방협력으로 구체화해 나가자”고 화답하며, 양국 간 연합방위체제 강화를 재확인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는 한미동맹을 축으로 한 역내 안보 네트워크를 다지는 동시에, 아세안 및 중국 등 주요국과의 협력 의지를 병행한 다자안보 외교의 장이 됐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