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한국에 대한 투자 확대를 주문하고, 우리 기업과의 AI(인공지능) 사업 협력에 대해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31일 오후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에서 황 CEO를 접견했다. 이번 접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황 CEO에게 "옛날에 용산 전자상가에 다니던 그 마음으로 대한민국의 전역을 다녀주시길 바란다"며 "우리 국민들은 엔비디아의 투자, 그리고 이번 협력 사업에 정말 큰 관심을 가지고 있고, 우리 정부 입장에서도 전폭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날 이뤄진 황 CEO와 이 회장, 정 회장의 '치맥 회동'에 대해 "어제는 치킨집에서 치킨을 드시는 것도 저희 온 국민이 함께 지켜봤다. 더군다나 골든벨까지"라고 농담을 건넸다. 황 CEO는 이 모임에서 '골든벨'을 울렸고, 실제 계산은 이 회장이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앞으로 엔비디아가 대한민국에 투자도 확대하고, 그게 대성공을 거둬 대한민국이 모두 골든벨을 받는 그런 상황이 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은 그야말로 얼리 어댑터들이 워낙 많은 나라고, 또 열정도, 지혜도 뛰어난 사람들이 많다"며 "그래서 대표께서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시대를 가장 먼저 열어가는 그야말로 시험지 같은 공간으로, 테스트 베드로 만들어도 결코 실패하지 않고 크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 CEO는 "AI가 필요한 것은 먼저 굉장히 깊은 기술 전문성, 혁신성, 선구안을 지니신 기업가분들, 마지막으로 AI 팩토리 역량을 갖추는 것"이라며 "한국은 이미 굉장히 깊은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계시고, 성공하신 기업가분들도 계신다"고 평가했다.
또 "대통령께서 보여주신 지원, 열정, 힘을 실어주신 덕분에 한국 전 세계 AI 중심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모든 산업들, 차부터 제조업, 반도체 공정, 그리고 소비자 가전재까지 저희는 많은 발표를 앞으로 할 것이며, 앞으로 한국이 AI의 여정에 함께하게 돼 굉장히 기쁘고 기대가 크다"고 언급했다.
이날 접견에서는 △피지컬 AI 등 핵심 분야 AI 인프라 구축과 기술 협력 △AI 기술 공동 연구 △AI 인재 양성·스타트업 지원과 관련해 엔비디아와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피지컬 AI는 AI 제조, 로봇, 자율주행차 등 실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에서 인식·행동하는 AI를 의미한다.
이재용 회장은 "삼성은 엔비디아와 함께 생성형 AI는 물론 디지털 트윈, 옴니버스, 반도체 AI 팩토리, 로보틱스를 비롯해 AI 기반의 반도체 노광 기술도 협력해서 혁신할 것"이라며 "또 신약 개발 플랫폼, 슈퍼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태원 회장은 "엔비디아가 최근에는 옴니버스라고 생각하는 아주 엄청난 디지털 툴을 만들었다"며 "GPU를 5만장 정도 구입해 이 옴니버스 툴을 가져와 저희가 생각하는 디지털 트윈에 저희 제조업을 AI로 혁신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 이 플랫폼은 SK만 쓰는 것이 아니라 공공과 스타트업이 같이 쓸 수 있게끔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제조 AI에 훨씬 더 스타트업들이 많이 뛰어들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주셔서 제조업이 단순히 큰 기업들이 리딩해 나가는 것뿐만 아니라 AI로 무장된 스타트업들이 같이 이 일을 할 수 있게끔 지원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해당 내용을 기록하도록 했다.
정의선 회장은 "저흰 모빌리티 기술력과 스마트 제조 역량을 결합해 미래 피지컬 AI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정부가 30년 AI 글로벌 강국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행정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지원해 줄거라 예상하고 있고, 저희는 그 부분을 가속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30억달러를 공동 투자해 AI 테크놀러지, 어플리케이션 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해은 "대통령께서 소버린 AI를 지원하시고, 그 개념에 대해 힘을 보태 주셔서 정말로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저희는 우리나라에서 자체적 AI를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엔비디아와 협력해 태국, 중동 쪽 새로 만드는 AI 무대를 협력해 해나가고자 한다. 앞으로 이런 협력을 강화해 모든 나라가 소버린 AI를 가질 수 있는 다양성을 지키는 시장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