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사업 부문별 고른 성장을 바탕으로 올해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8890억원, 영업이익 2603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분기 기준 사상 최대이며,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보다 15.7% 증가했다.
회사 측은 인공지능(AI)·전장·서버 등 고부가 제품 수요 확대로 산업·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및 서버용 고부가 반도체기판(FC-BGA) 등 주요 제품의 공급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성장세는 4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삼성전기는 AI 서버용∙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용 MLCC, AI 가속기용 FC-BGA 등 제품 공급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빅테크 고객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고부가 제품 승인 기종을 늘리고 신규 고객사 추가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컴포넌트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조3812억원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와 ADAS 보급 확대, AI 서버 및 네트워크 수요 증가로 고객사에 대한 고부가 제품 공급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패키지솔루션 부문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6% 증가한 5932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향 대면적·고다층 서버용 FC-BGA 및 메모리용 BGA 등 공급이 확대됐다.
광학솔루션 부문은 전년 동기보다 6% 증가한 914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해외 거래선향 플래그십 스마트폰 수요 감소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줄었지만, 전략거래선향 고성능 스마트폰 카메라모듈과 전천후 카메라모듈, 하이브리드 렌즈 등 전장용 제품 판매가 증가했다.
삼성전기는 "4분기에는 연말 재고조정 영향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전장 및 AI 서버용 시장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맞춰 고용량·고압 등 전장용 MLCC는 고부가제품군 라인업을 확대하고, AI 서버 등 산업용 MLCC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기는 "시장 수요 대응을 위해 올해 분기별 캐파를 지속 확대했고, 현재 가동률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내년에도 AI 관련 서버 및 고속·고대형폭 네트워크 장비 중심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자율주행기술 고도화에 따라 전천후 카메라모듈 및 인 캐빈 카메라 등 고신뢰성 전장용 카메라모듈 공급을 확대하고, 휴머노이드 등 신규 응용처 시장에서는 IT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솔루션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