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글로벌 달달투어’를 통해 총 100조 원+α 규모의 투자유치를 달성하며 ‘세일즈 외교’의 결실을 거뒀다.
김 지사는 현지 시각으로 27일 미국 보스턴에서 글로벌 반도체기업 2곳으로부터 1640억원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냈고, 이어 파라마운트·신세계프라퍼티와의 회담(28일 예정)을 통해 화성 국제테마파크 사업에 5조79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확정지었다.
이로써 김 지사는 취임 이후 누적 투자유치 총액 100조 563억원을 기록, 임기 내 목표로 내세운 ‘100조+α 투자유치’를 약 8개월 앞서 조기 달성했다. 경기도의 누적 투자유치액은 이번 미국 출장 전까지 94조 8844억원이었다. 김 지사는 이번 출장을 통해 세 건의 대형 협약을 체결하며 5조 1719억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 총 100조 원을 넘어섰다.
김 지사의 임기 중 해외 출장 비행거리는 총 20만 6695km로, 지구 한 바퀴(4만75km)를 기준으로 하면 지구 다섯 바퀴를 돈 거리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글로벌 혁신기업의 수도권 집중 구조가 ‘경기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효과도 뚜렷하다. 투자유치 과정에서 기업들이 제출한 계획상 직접 고용은 7000명, 고용유발계수를 반영한 간접효과는 약 27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김 지사는 보스턴 현지에서 글로벌 반도체 장비기업 엑셀리스(AXCELIS)와 회담을 갖고, 평택 현곡 외투산단 내 이온주입 장비 생산시설 확대 투자계획을 이끌어냈다. 엑셀리스는 반도체 8대 공정 중 하나인 이온주입 공정 장비 분야의 글로벌 톱2 기업으로, 이번 투자를 통해 경기도를 아시아 거점 생산지로 선정했다.
이에 김 지사는 "평택 투자가 아시아 수출 확대의 교두보가 되도록 경기도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서 김 지사는 보스턴에 본사를 둔 인테그리스(Entegris)와도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 인테그리스는 화성과 평택 등에 위치한 몰리브덴 제조시설을 증축해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반도체 신소재 생산기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몰리브덴은 텅스텐보다 미세공정에 적합한 차세대 핵심소재로, 이번 투자를 통해 경기도가 미래 반도체 공급망의 중심지로 도약하게 됐다.
김 지사는 28일(현지 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파라마운트 수석부문장 마리 막스, 신세계프라퍼티 이임용 상무와 만나 화성 국제테마파크 조성사업 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당초 4조 5000억원 규모로 계획됐던 이 사업은 9조 5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번 회담을 통해 약 5조 원(정확히는 5조 79억원)의 추가 투자가 확정되면서, 경기도-파라마운트-신세계 간 3각 협력이 본격화됐다.
화성국제테마파크는 약 4.23㎢ 규모로 조성되며 내년 하반기 착공 → 2030년 1차 개장 → 이후 20년간 단계적 개발이 추진된다. 파라마운트의 대표 콘텐츠인 ‘미션임파서블’, ‘트랜스포머’, ‘스펀지밥’ 등 글로벌 IP를 활용한 체험형 테마파크로, "아시아의 할리우드 랜드마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이번 ‘글로벌 달달투어’는 단순한 출장이나 행사 방문이 아니라, 경기도를 세계 경제지도 위에 올려놓은 세일즈 외교의 실천 현장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도체, 첨단소재, 문화·관광 산업이 융합된 ‘혁신경제 3축’이 경기도를 세계로 확장시키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