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응급의료기관 10곳 중 4곳에서 24시간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의료기관의 소아 응급환자 진료현황'에 따르면 전국 응급의료기관 425곳 중 365일 24시간 내내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한 곳은 266곳(62.5%)에 불과했다.
나머지 158곳(37.5%)은 야간이나 휴일 등 특정 시간대에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제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중 9곳(20.5%), 지역 응급의료센터 137곳 중 48곳(35.0%), 지역응급의료기관 232곳 중 101곳(43.5%)이다.
이가운데 지역별 편차도 매우 큰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강원도는 권역·지역 응급의료기관이 22곳이지만, 이 중 24시간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한 곳은 1곳뿐이다.
부산 역시 응급의료기관 29곳 중 소아 응급환자 24시간 진료가 가능한 곳이 1곳이었다.
전진숙 의원은 "필수의료 중 소아응급의료체계의 지역별 편차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진료권 중심의 중증·응급질환 24시간 전문의 대응체계 및 야간·휴일 소아 환자 진료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