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16개국이 모여 6G, 위성통신 등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기술·산업 동향을 공유한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오는 30일까지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모바일코리아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을 포함한 60개 기관·기업의 산학연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한다. 이들은 6G, 위성통신 등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기술·산업 동향을 교류한다.
행사는 GSMA, 삼성전자, EU 6G-IA의 기조연설로 시작한다. 이후 주요 글로벌 6G 포럼이 국제협력 방안과 공동 연구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주요 통신장비 제조사들도 자사의 6G 방향과 기술 전략을 공유한다.
인공지능 랜(AI-RAN) 기술 발전도 논의한다. 오는 29일 5G 버티컬 서밋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싱가포르 공과디자인 대학교(SUTD), KT에서 관련 기술 발표를 진행한다.
AI를 통한 6G 혁신 방안에 대한 의견도 교환한다. 같은 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삼성리서치, SKT 등이 참여해 AI 기반 5G-어드밴스드(Advanced) 기술 발전과 자율형 네트워크, RAN 효율화 등 차세대 통신 인프라 진화 방향을 발표한다.
글로벌 지역의 5G, 5G-Advanced 추진 현황도 공유한다. 이 발표에는 튀르키에 정보통신청(BTK), 태국 방송통신위원회(NBTC), 인도 바랏6G얼라이언스 등이 참여한다.
비지상 통신에 대한 국내외 주요 연구개발 동향도 다뤄진다. 한국(과기정통부), 유럽(유럽우주국(ESA)), 대만(산업기술연구원), 일본(JSAT) 등이 오는 30일 6G 위성 정책과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6G 기술개발과 표준화 선점을 위해 산학연의 협업과 긴밀한 글로벌 협력이 중요하다"며 "연구개발과 국제협력 확대,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