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캄보디아 송금 3년새 3배 급증…범죄자금 통로 악용 우려

NH농협은행 지점 정문 사진농협은행
NH농협은행 지점 정문 [사진=농협은행]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 송금액이 최근 크게 늘면서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의 해외 유출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이후 농협은행을 통해 캄보디아로 송금된 연간 금액이 3년간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송금액은 △2021년 368억원 △2022년 459억원 △2023년 942억원 △2024년 1038억원으로, 올 들어서도 9월까지 798억원이 송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누적 송금액은 총 3605억원(2억5172만 달러)이며, 한국인 송금 비중이 88%(3160억원)였다. 

특히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송금된 계좌 중 31건이 지급정지된 것으로 확인돼,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 자금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농협은행은 지난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 구축과 전담센터 운영에 54억원을 투입했지만, 실질적인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같은 기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8807건, 피해액은 1366억원에 달했지만, 환급금은 217억원(환급률 15.9%)에 그쳤다.

한편, 농협은행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캄보디아 현지 여성 지원단체 ‘AFESIP(위기의 여성들을 위한 행동)’에 3만7000달러(약 5000만원)를 기부했다. 하지만 이 단체는 2014년 창립자 소말리 맘(Somaly Mam)이 피해자에게 허위 증언을 강요한 사실이 드러나며 미국 내 비영리기구 자격을 박탈당한 바 있다. 미 대사관도 이 단체의 자금 운용과 서비스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어기구 의원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이 확산하고 있지만 농협은행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은 여전히 허술하다"면서 "캄보디아 송금이 범죄자금 통로로 악용될 우려가 큰 만큼 해외계좌 실명확인과 이상거래 탐지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현지 사업과 기부금 운용을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