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직접적인 의사결정에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관련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우리(MBK)는 대기업이 아니고 사모펀드 운용사이며 (나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13명의 파트너가 각자 맡은 분야가 다르고 나는 펀드레이징(자금 모집)을 담당하고 있다"며 "자금을 일으키고, 투자처에 자금이 제대로 운용되는지 관리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본인의 책임론과 사재 출연 요구가 제기되는 데 대해 그는 "제 회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답했다. 다만 납품대금 보증에 대해선 "내가 관여하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고 기업회생 신청 배경에 대해서도 "내 권한이 아니다. 이는 홈플러스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MBK는 홈플러스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지금까지 총 30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진행했으며 이중 1000억원은 김 회장의 사재에서 나왔다. 회사 측은 관리보수 및 성공보수 등 운영수익을 활용해 최대 2000억원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더 노력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법인과 개인 자금 모두 여력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그의 재산이 14조원에 달한다는 지적에는 "그 액수는 우리 법인(MBK)의 가치 평가에 따른 것으로 비상장사라 유동화가 불가능하다"며 "주식을 팔아 현금화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이해해달라"고 해명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매각을 통한 회생 절차를 추진 중이지만 인수 의향을 밝힌 기업이 나타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내 매각이 무산될 경우 청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회장은 지난달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의 면담에서 "매수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으나 홈플러스는 최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위한 '스토킹 호스' 방식을 포기하고 공개경쟁입찰로 전환했다.
이날 국감에서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개모집으로 돌린 뒤 인수자가 없다고 청산하려는 것 아니냐"라고 지적하며 "지난 달 말 언급한 매수 협상 기업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는 "현재 인수·합병(M&A) 절차가 진행 중이라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홈플러스 전단체(전자단기사채·ABSTB) 피해자들의 원금 회수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홈플러스가 카드 매출채권을 기초로 발행한 전단채 1777억원어치의 상환은 기업회생 신청으로 중단된 상태다. 김 회장은 "전단채 사재 출연 약속은 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전단채 피해자 대책위 이의환 위원장은 "올해 2월 발행한 820억원 규모 전단채를 우선 변제하겠다고 해놓고 아직도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1억~2억원은 김 회장에게 푼돈일지 몰라도 우리에겐 생계가 걸린 돈"이라고 호소했다. 홈플러스 입점주 대표 김병국씨도 "정부와 국회가 개입해 건강한 공적 M&A가 이뤄지길 바란다"며 "매출 급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점주들에게 긴급자금 지원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MBK는 동북아 최대 규모 사모펀드 운용사로, 김 회장은 미국 국적의 창업자다. 미국 포브스가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그의 자산 규모는 약 97억 달러(약 13조 5000억원)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115억 달러)에 이어 한국 내 2위 부호로 평가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