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中, '마스가 상징' 한화오션 미국 내 자회사 5곳 제재…"中 주권과 안전 해쳐"

  • 한화오션 美자회사 5곳 제재명단에...'조선'도 미중 갈등 불똥

중국 칭다오 항구 AFP
중국 칭다오 항구 [사진=AF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의 상징인 한화필리조선소 등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을 제재하기로 했다.

중국 상무부는 14일 성명을 내고 ‘반외국제재법’에 따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제재 명단에 포함시키고, 이들 업체가 중국 내 조직·개인과 거래·협력 등 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제재 명단에 오른 업체는 한화필리조선소를 비롯해 한화쉬핑,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 등 5곳이다. 상무부는 이번 조치가 미국이 중국 해양·물류·조선업에 대해 개시한 ‘무역법 301조’ 조사에 반격하기 위한 것이라며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는 미국 정부의 관련 조사 활동을 지원해 중국의 주권과 안전, 발전 이익을 해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올해 초 기업들이 미국 등 외국 정부의 조사에 협조·지원하는 경우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반외국제재법’을 강화했다. 이번 제재 조치는 이 법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그동안에는 주로 미국 기업이 이를 근거로 제재 받아왔으나 한국 기업이 제재 명단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산업에 대한 조사인 ‘무역법 301조’ 조사를 개시했으며 지난 4월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 회사가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선박, 중국 국적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정책을 발표하고 이날부터 시행에 나섰다. 이에 중국 역시 예고한 대로 미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를 이날부터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이처럼 미·중 무역갈등 전장이 해운·조선으로까지 확장되면서 중국은 마스가 프로젝트에 대한 경계 수위를 높이는 모습이다.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7월 한국이 미국에 마스가 프로젝트를 제안한 것에 대해 "위험한 도박이다. 미국의 이익에 종속될 수 있다"며 경계했고, 지난 9월에는 마스가 프로젝트를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쇼”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