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오전 10시께 안호영 위원장이 기후부에 대한 국정감사를 개의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출범 이후 단 한차례도 업무보고를 받지 못했다"며 반발했다. 결국 안 위원장은 개의 43분 만에 정회를 선언했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기후부가 출범한지 열흘이 넘었지만 야당 의원 중에선 '에너지부 업무가 이렇게 돼 있고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식의 업무보고를 받은 사람이 아무도 없다"며 "도대체 국감을 우리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여당의 경우 10월1일 출범 이전에 전체적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업무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가 이걸 뉴스를 통해서 들어야 하나. 시험을 봐야 하는데 시험 범위도 안 가르쳐 준 셈이다. 추후 종합감사 전까지 어떤 대책이든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추석 연휴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추석 직후에 국감이 있다는 것을 인지했다면, 여야를 막론하고 부처 입장에선 당연히 보고를 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야당의 문제 제기에 공감했다.
다만 민주당은 국감을 예정대로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정 민주당 의원은 "기후에너지환경부에서 야당 의원들에게 업무보고를 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일이지만 국감은 지난해에 대한 전반적인 감사이기 때문에 충분히 진행할 수 있다"며 "이번 국감을 통해 글로벌 기후위기 방지 대책을 강구하고 기후테크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해 논의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여당 위원님과 야당 위원님을 따로 하지 않았다. 보고를 회피하려고 한 건 아니었는데 추석 연휴와 겹쳐서 일정을 잡지 못해서 제대로 보고를 못 드린 것에 대해서 송구하게 생각한다"면서 "종합감사 전까지 의원님들과 상의해 필요한 사항을 보고하겠다"고 해명했다.
이후 간사 협의를 위해 주 질의 전부터 국감이 한 차례 정회됐으며 오전 11시 다시 재개됐다. 여야 협의 결과 국회 기노위는 오는 23일 예정된 에너지 기관 국감에 앞서 16일 오후 2시 추가 전체회의를 열고 에너지 부문 업무보고를 받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