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간 1∼8월 주거용·비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 추이 [그래픽=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보고서 갈무리]
올해 건축 착공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경기가 침체했던 2009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건설 동향 브리핑 보고서’에 따르면 1∼8월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5043만㎡로 집계됐다. 이는 2009년 4160만㎡ 이후 두 번째로 적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6073만㎡)보다 17.0% 감소했다.
주거용과 비주거용 착공 면적도 줄었다.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1603만㎡로 전년 동기 대비 30.6% 줄었고, 비주거용은 3440만㎡로 8.6% 감소했다.
수도권은 주거용 착공 면적이 29.1% 감소한 909만㎡에 그친 반면, 비주거용은 3.2% 증가한 1860만㎡로 나타났다. 지방의 주거용·비주거용 착공 면적은 각각 32.6%, 19.4% 감소한 693만㎡, 1580만㎡를 기록했다.
월별 추이를 보면 올해 1∼5월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감소세가 이어졌으나, 6월 0.6%, 7월 16.5% 증가하며 반등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8월 들어 40.0% 급감하면서 다시 크게 위축됐다.
건산연은 "건축공사 착공 물량이 위축되는 것은 향후 1∼2년간 공사 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며 "9∼12월 착공 물량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지만, 지방의 경우 당분간 회복 여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방 착공 감소와 건설 투자 위축은 지역 경제에 불가피하게 큰 타격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공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전략 사업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