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취소당한 콜롬비아 대통령 "트럼프, 유엔 원칙 위반"...유엔 본부 이전 주장

  • 뉴욕 방문 중 친팔 시위 참석..."유엔본부, 도하로 옮겨야"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이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유엔본부 앞에서 열린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석해 연설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이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유엔본부 앞에서 열린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석해 연설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이 미국 방문 중 미 정부의 비자 취소 조치에 반발하며 유엔 본부를 뉴욕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7일(현지시간) 악시오스 등 외신에 따르면 페트로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유엔 창립원칙을 위반했다"며 "이제 더 민주적인 곳으로 가야 한다. (카타르) 도하를 유엔 본부로 제안한다"고 적었다.

그는 또 "콜롬비아 대통령으로서, 유엔총회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표명한 것"이라며 국제법이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량학살은 반(反)인륜 범죄로, 인류는 이에 대응하고 판단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페트로 대통령은 유엔총회 참석 전날 뉴욕 시내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사태 관련 미국 규탄 시위에 참석해 연설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팔레스타인 해방을 목표로 한 국제군 창설을 촉구하고 미군을 향해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에 불복하고 인류의 명령에 복종하라"고 발언했다.

이후 미 국무부는 그의 발언을 '무모하고 선동적인 행위'로 규정하고 명령 불복종과 폭력 선동 등을 거론하며 비자 취소 방침을 밝혔다.

콜롬비아 외무부도 즉각 반발했다. 콜롬비아 외무부는 비자 취소를 외교적 무기로 사용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고 유엔 행사에서 회원국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유엔 정신에 어긋난다고 밝혔다.

콜롬비아는 최근까지 남미 협력국 중 하나였으나, 올해 초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후 양국 관계는 점차 악화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올해 초 페트로 정부는 미국발 추방 항공편을 차단해 미국 측의 관세 및 제재 위협을 받았고 이후 양측이 가까스로 합의에 도달했다.

또한 페트로 대통령은 지난해 이스라엘과의 외교적 관계를 단절하고 콜롬비아의 석탄 수출을 금지하는 등 대외 정책에서 미국 및 서방과 대립각을 세워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좌파 성향인 페트로 대통령이 미국과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을 정치적으로 활용하길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페트로 대통령은 헌법상 재선이 금지돼 있으나, 미국은 그의 측근이 대통령직을 이어받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악시오스는 전했다.

페트로 대통령 이전 1996년 당시 에르네스토 삼페르 전 대통령도 대선 자금을 칼리 마약 카르텔로부터 지원받았다는 의혹으로 인해 미국 비자가 취소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