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공급대책' 약발 없나…서울 아파트값 3주 연속 확대

  • 9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전주 대비 0.07%p↑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일대. [사진=연합뉴스]
6·27 대출 규제 이후 관망세를 보이던 주택 시장이 규제지역이 아닌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다시 꿈틀거리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3주 연속 커졌다. 정부의 9·7 공급 대책이 발표됐으나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관망세가 매수세로 전환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넷째 주(9월 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9%로 직전 주 대비 0.07%포인트(p) 커졌다. 3주 연속으로 상승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한강 벨트의 상승폭 확대가 두드러지고 있다. 성동구(0.41%→0.59%)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전주 대비 0.18%p 확대됐다. 마포구(0.28%→0.43%)는 0.15%p, 양천구(0.19%→0.28%)는 0.09%p 상승폭이 커졌다. 

강남 3구는 강남구가 0.12% 올라 전주와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했고, 서초구와 송파구는 각각 0.20%, 0.35% 상승해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상승거래 포착되는 등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추가 규제 가능성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강남 3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허구역 지정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마포구, 성동구 등은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직권으로 토허구역 등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정부는 9·7 부동산 대책을 통해 국토교통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강 벨트 권역에서 지금과 같은 집값 상승 추세가 계속될 경우 정부가 입법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규제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거론된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수도권 전체 오름폭도 0.04%에서 0.07%로 직전 주 대비 커졌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0.01%에서 0.03%로 0.02%p 올랐다.

지방(-0.01%→-0.01%)은 지난주와 동일한 하락폭을 기록했다. 5대 광역시(-0.02%) 역시 같은 내림폭을 유지했다. 8개 도(0.00%)는 보합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 상승폭(0.03%)은 직전 주 대비 0.01%포인트 커져 3주 연속 확대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 상승해 오름폭이 커졌다. 서울(0.09%)은 역세권 등 주요 단지 위주로 올랐고 인천(0.04%)은 직전 주 대비 상승폭이 0.01%p 확대됐다. 경기도(0.05%)는 전주 대비 상승폭이 0.02%p 커졌다. 수도권 전체로는 0.06% 상승했고, 지방은 0.03%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