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AI 거품 의구심 지속...이틀 연속 하락

  • 엔비디아·오픈AI 투자 구조 논란...기술주 전반 약세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증시 고평가' 발언과 엔비디아·오픈AI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우려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2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0포인트(0.37%) 하락한 4만6121.2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95포인트(0.28%) 밀린 6637.97, 나스닥종합지수는 75.62포인트(0.33%) 떨어진 2만2497.86에 장을 마쳤다.
 
시장에서는 최근 주요 지수의 고평가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날 파월 의장이 "상당히 고평가된 것 같다"고 언급한 점이 매도세를 자극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S&P500은 이틀간 0.8% 하락했고, 나스닥은 1% 이상 떨어졌다.
 
특히 엔비디아와 오픈AI 간의 1000억 달러 규모의 공급 계약이 '순환출자' 형태라는 분석이 제기되며 AI 산업 전반에 대한 거품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해당 계약은 엔비디아가 오픈AI에 자금을 지원하고 오픈AI가 그 자금으로 엔비디아 칩을 다시 구매하는 구조로 알려졌다.
 
이는 과거 닷컴버블 당시 일부 통신장비 기업들이 매출 유지를 위해 시도했던 방식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월가에서 나온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돌려막기식 거래’가 거품 붕괴 직전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신호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제이 해트필드 인프라스트럭쳐캐피털어드바이저스 최고경영자(CEO)는 "아무도 AI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고 세상은 종말을 맞이할 것이라고 말하지는 않겠지만 현재 밸류에이션은 분명히 그러하다"며 "낙관할 실질적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소재와 부동산이 1% 이상 떨어졌다. 반면 에너지는 1.23% 상승했다.
 
종목별로는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대형 기술주가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알파벳은 1% 안팎 하락했고 마이크론은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3% 가까이 하락했다.
 
반면 테슬라는 4% 급등했고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AI 투자 확대 발표에 힘입어 9% 가까이 상승했다. 리튬 아메리카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라는 소식에 95% 폭등했다.
 
한편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미국 상업용 원유 재고가 시장 예상(80만 배럴 증가)과 달리 60만7000배럴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1bp=0.01%p) 인하될 가능성을 75.2%로 반영하고 있으며,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46포인트(2.76%) 떨어진 16.18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