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형 라온시큐어 의장 "웹3‧AI로 연결되는 미래…보안‧인증 선두입지 확보할 것"

  • 웹3‧AI, 각 요소 취약점 극복 돕는 상호 보완적 관계

  • 웹3는 '블록체인' AI는 '보안‧인증' 능력 앞세워 경쟁력 창출

‘2025 시큐업해커톤’에서 이순형 라온시큐어 이사회 의장이 웹3와 AI 융합을 통한 데이터 주권 및 초연결 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라온시큐어
‘2025 시큐업&해커톤’에서 이순형 라온시큐어 이사회 의장이 웹3와 AI 융합을 통한 데이터 주권 및 초연결 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라온시큐어]
정보기술(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가 웹3(탈중앙화 웹) 생태계와 인공지능(AI) 융합을 통한 미래 사회의 디지털 신원 체제 구축을 선언했다. 데이터 주권‧초연결 사회를 주도하기 위한 세부 전략도 제시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이사회 의장은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에서 “데이터 주권은 디지털 사회의 인류 기본권”이라며 “(이를 지키려면) 출생부터 노년까지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디지털 신원 체제 구축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웹3와 AI 기술이 서로의 약점을 보완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웹3는 AI의 빅데이터 독점과 악용 우려를 완화하고 신뢰 기반 구조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며 “AI는 탈중앙 환경의 웹3가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상호 보완적 관계”라고 말했다.
 
라온시큐어는 웹3·AI 기반 초연결 플랫폼 서비스 계획을 공개했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인증 기술로 웹3 생태계를 확장하고, 정보보호 통합 솔루션‧AI 기술 결합 보안·인증 서비스를 통해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대체불가능토큰(NFT)·스테이블코인(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코인) 등 웹3 토큰경제 플랫폼, 분산 신원인증(DID)과 AI 기반 의료·교육·공공·금융 데이터 플랫폼, 양자내성암호(PQC)‧영지식증명(ZKP) 기반 디지털 인증 플랫폼 등 다양한 영역서 경쟁력을 고도화하고 있다.
 
라온시큐어 자회사인 라온메타는 웹3·AI 기반 메타버스(가상공간) 혁신 방향, 실용적 메타버스 플랫폼과 동력 보트 조종, 지게차 운전, 장애인 직업훈련 등 콘텐츠를 소개했다.
 
주요 연사들은 글로벌 보안·인증 현안을 공유했다. 케빈 가르시아 코스타리카 공대 교수는 한국과 코스타리카 간 개방형 DID 기반 디지털 주권 강화, 신뢰 가능한 신원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벤자민 구글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 개발 수석은 제로 트러스트(무 신뢰) 보안 모델의 필요성과 글로벌 적용 사례를 발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