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K)-컬처가 세계로 뻗어가는 가운데 K-컬처의 뿌리인 한국 미술의 의의에 대해 쓰고 싶었어요.”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은 23일 서울 마포구 창비서교빌딩에서 열린 신간 간담회에서 이처럼 말하며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보여주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국미술 전도사'로 통하는 유 관장은 <모두를 위한 한국미술사>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미술사> 총 2권을 펴냈다. <모두를 위한 한국미술사>는 여섯권에 달하는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를 한권으로 압축한 한국미술사 통사다.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른 모든 시대, 회화에서부터 공예까지 전 분야를 아우른다.
유 관장은 “외국어로 번역된 한국 미술사 책이 거의 없다”고 상황을 전했다. “대표적인 세계 미술사 시리즈인 예일대의 <펠리칸 히스토리 오브 아트>와 테임즈 앤 허드슨의 <월드 오브 아트>에는 코리아 부문이 없어요. 외국에서 한국 미술에 대해 알고 싶어서, 박물관 서점에 가도 전시도록만 있는 수준이죠. 일본과 중국에 대한 서적은 한 코너를 다 장식할 정도인데 말이에요. 출판사들이 말하길 한국 미술사 책으로 번역할 만한 텍스트를 못 찾았다고 하더군요.”
그는 외국인들이 쉽게 한국 미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책을 썼다. “한국인을 위한 한국 미술사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 미술사는 서술 방법이 달라야 해요. <모두를 위한 한국미술사>는 시대순으로 썼지만, <외국인을 위한 한국미술사>는 장르순으로 썼어요. 외국인들은 한국 역사와 지리에 낯설기 때문이죠.”
유 관장은 다민족 국가로 가고 있는 현재의 한국 상황에서 이 책들이 유용할 것으로 봤다. “우리는 다민족 국가로 가고 있어요.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 한국 국적을 취득하려는 외국인에게 한국 미술사는 교양 필수죠. 그 분들이 이 책을 보면 좋겠어요. 해외 세종학당에서 한글을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도 유용한 텍스트가 될 거예요.”
한편,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이 재임 중 책을 출간한 것은 최순우 관장(1974~1984)의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서서>, 정양모 관장(1993~1999)의 <고려청자>, <너그러움과 해학> 이후 세 번째다. 유 관장은 “건물, 유물, 사람을 기준으로 박물관을 평가하곤 하는데, 이것만큼 중요한 게 학술 능력이다”라며 “박물관 관장과 소속 큐레이터의 저서는 박물관의 권위와 품격을 말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