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19 평양공동선언·남북군사합의 7주년 기념식에서 평화경제 전략을 제시하며 "경기도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이곳은 DMZ 남방한계선에서 불과 2km 떨어진 접경지로, 평화를 다시 시작하는 상징적인 장소"라며 "오늘, 새로운 '비긴 어게인', ‘평화 다시 시작’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사진=김동연 지사 SNS]
[사진=김동연 지사 SNS]
김동연 "평화의 출발점은 바로 9.19 복원"이라며 "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이자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가장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지사는 평화경제를 위한 3대 전략을 제안했다. 첫째,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해 첨단산업 전력을 공급하고 지역 주민들과 이익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사진=김동연 지사 SNS]
[사진=김동연 지사 SNS]
둘째,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에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하는 ‘기후테크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했다. 셋째, 경기도 내 22곳에 달하는 미군 반환공여지를 지역 특성에 맞춰 개발해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지난 3년간 역주행하는 윤석열 정권에 맞서 평화경제의 길을 열기 위해 싸워왔다"며 "정권교체로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를 이어 다시 힘찬 평화의 이어달리기가 국민주권정부에서 시작됐다"고 말했다.
[사진=김동연 지사 SNS]
[사진=김동연 지사 SNS]
이어 "오늘을 가능하게 해주신 문재인 전 대통령님, 문희상 전 국회의장님, 우원식 국회의장님, 정동영 통일부 장관님, 정청래 당대표님, 그리고 민주정부 평화의 주역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린다"며 "다시 시작하는 평화경제의 길, 경기도가 앞장서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