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인텔에 50억 달러 지분 투자…차세대 칩 공동개발, 업계 파장 '예상'

인텔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텔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 달러 대규모 투자를 통해 PC·데이터센터용 칩 공동 개발에 나선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와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50억 달러 규모의 지분 투자를 결정하며 인텔 보통주를 주당 23.28달러에 매입하기로 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엔비디아는 인텔 지분 4% 이상을 보유하며 주요 주주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가격은 전날(24.90 달러)보다 낮은 수치다. 지난달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취득하며 지급한 주당 20.47 달러보다는 높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발표에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이 포함되지 않았단 사실에 주목했다.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엔비디아, 애플, 퀄컴과 같은 대형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대신 인텔은 차세대 PC 칩에 엔비디아 그래픽 기술을 탑재해 AMD와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부문에서는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에 자사 프로세서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AI 칩을 대규모 클로스터로 묶어 제공하는 방식을 확대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선 일반 연산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가 필수적이다. 

이번 투자 결정으로 경쟁사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 핵심 파트너인 대만 파운드리 업체 TSMC는 단기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텔에 최대 고객을 빼앗길 수 있는 셈이다. PC칩 시장에서 인텔과 경쟁을 벌이고 있는 AMD도 엔비디아를 등에 업은 인텔의 부상으로 입지가 약화될 수 있단 분석이 제기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엔비디아가 자사 칩 생산을 인텔에 위탁할지 여부를 검토 중이지만, 아직까진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보도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역사적인 협력은 엔비디아의 AI와 가속 컴퓨팅 기술을 인텔의 CPU와 방대한 x86 생태계에 긴밀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세계적인 두 플랫폼이 하나로 융합되는 것이다. 우리는 함께 생태계를 확장하고, 다음 시대 컴퓨팅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전했다.

립부 탄 인텔 CEO도 "젠슨 황과 엔비디아 팀이 인텔에 보여준 신뢰에 감사하다. 앞으로 고객을 위한 혁신에 함께 나설 것을 기대한다. 인텔의 x86 아키텍처는 수십 년간 현대 컴퓨팅의 토대였다. 앞으로도 미래의 워크로드를 지원하기 위한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블룸버그 통신은 컴퓨터 산업 내 권력 구도가 크게 변했다고 분석했다. 과거에만 머물던 인텔이 엔비디아로부터 자금은 물론 최첨단 기술까지 동시에 공급받는 구조가 됐기 때문이다. 로이터 통신도 인텔이 수년간의 사업 회생 노력이 성과를 내지 못한 상황에서 이번 지원이 인텔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봤다. 인텔은 최근 미국 정부로부터 57억 달러를 지원받았고, 일본 소프트뱅크가 2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기로 했다. 여기에 엔비디아의 투자도 이어지면서 반등이 예상된다. 다만 로이터 통신은 백악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이번 투자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알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