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익사이팅 서울 32] "배 타고 출퇴근해볼까"...첫 수상교통 '한강버스' 

  • 마곡-잠실 28.9㎞ 구간 이동…7개 선착장 구간 왕복

  • 기후동행카드에 5000원 추가시 무제한 탑승 가능

서울의 새 수상 교통수단인 한강버스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선착장을 향해 달려오고 있다 사진박자연 기자
서울의 새 수상 교통수단인 한강버스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선착장을 향해 달려오고 있다. [사진=박자연 기자]
숨이 턱턱 막히는 '지옥철(지옥+지하철)' 대신 교통체증 없는 한강 위로 출퇴근하면 얼마나 좋을까. 드디어 서울시의 첫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가 정식 운행을 시작하며 가능해졌다. 마곡에서 잠실까지 28.9km의 물길을 급행 노선 기준 82분 동안 여유롭게 앉아 베이글과 커피도 즐길 수 있다. 

18일 오전 9시 30분 첫 정식 운항을 1시간 30분 앞두고 시범 운영 중인 한강버스를 직접 타봤다. 여의도 선착장에서 첫 모습을 드러낸 한강버스는 길이 35.5m, 폭 9.5m, 총 169t 규모로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했다. 

한강버스는 서울 한강을 따라 운항하는 수상 대중교통 수단이다. 영국 런던 템스강의 수상버스처럼 일반 시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총 7개 선착장(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 구간을 왕복한다. 

기자는 여의도에서 탑승해 뚝섬까지 한강버스를 이용했다. 요금은 성인 3000원이며 대중교통 환승이 가능하다. 월 6만2500원짜리 기후동행카드에 5000원을 추가하면 무제한으로 탈 수 있다.

자리를 잡아 대기 후 창문에 비친 배경이 바뀌는 것을 확인한 뒤에야 한강버스가 출발한 것을 알아차렸다. 소음이 심하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과 달리 대화하는데 불편한 정도의 소음은 느껴지지 않았다. 지하철 역에 도착하면 나오는 안내음과 동일하게 한강버스 내에서도 4개 국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안내가 나왔다.
 
‘한강버스’ 선내에는 카페테리아를 운영해 커피와 베이글 등 간단한 간식을 즐기며 출퇴근과 이동이 가능하다 사진박자연 기자
‘한강버스’ 선내에는 카페테리아를 운영해 커피와 베이글 등 간단한 간식을 즐기며 출퇴근과 이동이 가능하다. [사진=박자연 기자]
선박 안에는 선장 1명, 승무원 2명, 기관사 1명 총 4명이 배치돼 있었다. 내부는 파노라마형 유리창과 카페테리아, 접이식 테이블, 자전거 거치대, 휠체어석까지 갖췄다. 'DDP호', ‘경복궁호’, ‘남산서울타워호’, ‘세빛섬호’ 등 서울 명소 이름을 붙인 배마다 포토존이 마련됐다. 

접안·이안 때는 나가지 못하는 선수와 선미에 가보니 강바람를 그대로 느낄 수 있었다. 여의도를 출발한 한강버스는 평균 시속 22km(12노트)로, 최고 속도는 26km(14노트)까지 나왔다. 강이었지만 바람이 세게 불면 파도가 쳐 중심 잡기가 힘들었다. 

약 30분간 달린 후 도착한 선착장도 단순히 승하차 지점이 아니었다. 여의도에는 스타벅스, 잠실에는 테라로사, 망원에는 반려견 동반 카페가 입점했다. 특히 뚝섬 선착장 루프톱은 LP 음악을 고르는 ‘바이닐 한강점’으로 꾸며져있다. 바이닐 카페에서는 음료 1잔 포함 1만8900원만 지불하면 LP를 무제한으로 청음할 수 있다. 다만 한강 뷰가 보이는 한강석은 2시간 제한이 있고, 주말에는 전 좌석에 2시간 이용 제한이 있다. 
 
뚝섬 선착장에는 LP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바이닐 한강점이 입점돼있다 사진박자연 기자
뚝섬 선착장에는 LP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바이닐 한강점'이 입점돼있다. [사진=박자연 기자]
뚝섬 선착장에서 남편과 한강버스를 타기 위해 방문한 김호래(77·여)씨는 "집이 뚝섬 근처라 가까워서 쉽게 찾아왔다"며 "해외여행으로 페리나 선박은 타봤는데 한강버스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서 직접 경험해보려 왔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뚝섬 드론라이트쇼, 여의도 책축제, 잠원 무릉도원축제 등과 연계해 한강버스를 축제장행 교통수단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저렴한 3000원의 이용요금으로 운행사업에는 수익을 내는데는 한계가 있어, 선착장을 이용한 루프탑 공공웨딩 등에서 수익 구조를 낼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버스는 도시민들이 지닌 스트레스와 압박감으로부터 힐링, 자유, 치유를 할 수 있는 교통 수단이 될 것"이라며 "단순한 대중교통 뿐만 아닌 가성비 높은 위로의 수단이 돼 시민들에게 드리는 선물로 봐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