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0.25%p 인하 이후 9개월 만이자, 트럼프 2기 출범(1월 20일) 이후 첫 금리 조정이다.
연준은 FOMC 발표문에서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성장이 상반기 중 완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올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고 고용의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며 인하 배경을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해온 ‘빅컷’(0.50%p 이상 인하)은 불발됐다. 다만 전날 취임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 겸임)는 단독으로 0.50%p 인하에 투표했으며, 나머지 위원들은 0.25%p 인하에 표를 던졌다. 지난 7월에 이어 연속 만장일치에는 실패했다.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중간값을 3.6%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6월 전망치(3.9%)보다 낮은 수준으로, 연내 두 차례(각각 0.25%p) 추가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올해 FOMC 회의는 10월 28~29일과 12월 9~10일 두 차례 남아 있다.
점도표에 따르면 전체 연준 위원 19명 중 12명이 연내 인하를 전망했으며, 이 가운데 9명은 두 차례 인하를 내다봤다. 1명은 연말 금리를 2.75~3.00%로 전망해 총 1.25%p 추가 인하를 예상했다. 이번 결정으로 한·미 금리차(기준금리 상단 기준)는 1.75%p로 좁혀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결정을 “리스크 관리 차원의 인하(risk-management cut)”라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의 책무는 물가 수준이 일시적으로 한 차례 상승하는 것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관세발 물가 압력을 경계했다. 또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분 대부분은 상품 가격 상승 때문”이라며 “올해와 내년에도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동시장에 대해서는 “노동시장의 변화는 주로 이민 변화에서 비롯된다”며 “노동 수요가 노동 공급보다 조금 더 가파르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 수요가 약화됐고, 최근 고용 창출 속도가 실업률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균형 수준(break-even rate)보다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노동시장이 ‘매우 견고하다’고 더는 말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잭슨홀 회의’에서도 이민 제한 정책으로 노동 공급이 감소했고, 경기 둔화로 노동 수요까지 줄면서 “이상한 종류의 균형(curious kind of balance)”이 형성됐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는 금리 인하의 배경으로 고용의 하방 위험을 지적하면서도 "경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오늘 결정의 초점은 노동시장 위험이었다”며 “0.5%포인트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향후 추가 인하와 관련해서는 신중론을 유지했다. 파월은 “회의별 상황(meeting-by-meeting situation)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스티븐 스탠리 산탄데르 미국 자본시장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앞으로의 경로는 경제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크게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연준은 올해 미국 실질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상향 조정했다. 6월 전망치는 1.4%였다. 반면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3.0%), 근원 PCE 상승률(3.1%), 실업률(4.5%) 전망은 유지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해임한 리사 쿡 연준 이사는 항소법원 판결에 따라 당분간 직을 유지해 이번 회의에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