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과 레저, 수입차 시장 새로운 주역

  • 수입차 시장, 친환경차로 대변혁

국내 수입차 트렌드가 친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사진한국수입자동차협회
국내 수입차 트렌드가 친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사진=한국수입자동차협회]
지난 20여 년간 수입 국내 자동차 시장이 내연기관차에서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중심의 친환경차로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수입 차량 형태는 세단에서 레저용 차량으로 변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국토교통부 등록 기준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3년과 2025년을 비교한 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2003년 가솔린이 97.8%를 차지하던 수입 승용차 시장은 2025년 신규 등록 차량의 85.3%가 하이브리드(57.5%)와 전기차(27.8%)로 재편됐다. 그 사이 국내에 판매하는 수입 승용차 브랜드는 16개에서 26개로 약 1.6배 늘었다. 판매 모델 수 역시 170여종에서 520여 종 이상으로 약 3배 증가했다. 국산 승용차 모델 수가 120여종인 점을 고려할 때 수입차의 다양성이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혔다고 볼 수 있다.

친환경 키워드는 자동차 배기량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2000㏄ 미만 수입 차량 비중은 2003년 18.7%에서 2025년 8월 말 42.5%로 크게 확대됐다. 같은 기간 2000~3000㏄ 비중은 42.9%에서 25.5%, 3000~4000㏄는 23.2%에서 2.6%, 4000㏄ 이상은 15.3%에서 1.6%로 축소됐다.

선호하는 수입 차종은 세단에서 레저용 차량(RV)으로 급변하고 있다. 2003년에는 세단이 1만6171대로 전체 신규 등록 수입 승용차(1만9481대)의 83%에 달했으나, 올해 8월 기준으로는 42.8%로 크게 줄었다. 반면 2003년 17%였던 RV는 같은 기간 57.2%로 증가하며 과반을 넘겼다.

수입 승용차를 가진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수입 승용차 점유율은 2003년 1.9%에서 지난 2024년 기준 18.3%로 상승함에 따라 국내 총 등록 대수 비중의 13.3%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소유자 10명 중 1명은 수입 자동차를 타고 있는 것이다.

정윤영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부회장은 "수입자동차가 다양한 측면에서 소비자 선택의 기회를 확대하는 동시에 국내 자동차 시장의 기술과 친환경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