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팬 룸] 번개 급증한 日…정전·화재·보험금 폭증까지, 왜?

일본 도쿄에서 포착된 낙뢰 사진교도·연합뉴스
일본 도쿄에서 포착된 낙뢰 [사진=교도·연합뉴스]
일본에서 천둥·번개가 늘어나면서 정전과 화재 등 사고가 잇따르고, 관련 보험금 지급액도 급증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4일 일본 기상청의 지난 50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도쿄·오사카 등 주요 11개 도시에서 천둥이 관측된 날은 1974~1998년 연평균 180일에서 1999~2023년 209일로 늘었다고 보도했다. 무려 16% 이상 증가한 수치다.

실제 피해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11일 도쿄 일대에서는 번개와 집중호우로 1만 가구가 정전됐고, 도쿄도 다치가와시에서는 낙뢰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했다. 이날 하네다 공항 활주로가 파손돼 항공편 결항이 이어졌는데, 원인으로 낙뢰가 지목됐다. 지난 4월에도 나라현에서 중·고등학생 6명이 낙뢰로 병원에 이송되는 사고가 있었다.

번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 온난화가 꼽힌다. 기온이 높아지면 대기 중 수증기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적란운(뇌우를 동반한 구름)이 더욱 발달하기 쉽다. 적란운은 강한 대류를 일으키며 번개와 천둥을 발생시키는 주된 요인이다.

실제로 일본 기상청은 최근 수십 년간 여름철 집중호우와 뇌우 발생이 늘어난 배경에 ‘해수면 온도 상승’과 ‘대기 불안정 심화’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해 왔다.

피해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낙뢰로 인한 건물 피해나 가전제품 고장이 늘면서 일본 내 보험금 지급액은 2009년의 6배를 넘어 2022년에는 147억엔(약 1387억원)에 달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번개 증가가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일본 사회는 번개 위협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에 더욱 노출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