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위원장은 1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KB·신한·하나·우리·농협·iM·BNK·JB 등 8개 금융지주 회장 및 은행연합회장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첨단산업, 벤처‧혁신기업, 지역경제, 재생에너지 등 보다 생산성이 높은 새로운 영역으로 자금을 공급하고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바꿔나가야 할 시점"이라며 "조만간 금융권, 금융 수요자, 전문가 등이 함께 하는 자리를 마련해 생산적 금융의 세부 과제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율적‧선제적인 채무조정과 서민금융상품의 공급 등에 앞장서는 포용성도 금융권에 요청했다. 이 위원장은 "고객인 금융수요자를 경영의 중심에 두고 영업의 전 과정과 내부통제를 꼼꼼하게 살피는 각고의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짚었다.
취임사에서는 담지 않은 금융당국체계 개편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이 위원장은 "정책은 보다 정책답게 감독은 보다 감독답게 기능하고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의 상충을 해소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돼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금융회사와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금융지주 회장들은 효율적 자원배분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화답했다. 각 지주회사는 취약계층 지원 전담조직 신설, 소액 신용대출 상품 출시뿐 아니라 금융 소비자 보호 정책 수립, 내부통제‧완전판매 고도화, 소비자 보호 전문인력 확충 등의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지주사들은 원활한 생산적 금융을 위해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적용되는 위험가중치(RWA)에서 글로벌 스탠다드보다 엄격한 부분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