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반쪽 행사된 사도광산 추도식…日정부 관계자 "타협 어려워...관리해야"

  • 외무성 간부 "앞으로도 타협점 찾기 어려워"..."로우키로 관리해야"

  • 사도 시장 "한국과 교류 추진 원해"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참가자들이 묵념하고 있다 한국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추도식에 불참해 2년 연속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사진연합뉴스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참가자들이 묵념하고 있다. 한국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추도식에 불참해 2년 연속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지난해에 이어 ‘사도광산 추도식’ 추도사에서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을 언급하지 않으면서 13일 또다시 일본 측 인사만 참가한 반쪽짜리 행사가 치러졌다. 일본 언론은 한·일 관계가 개선 중인 상황에서도 사도광산 행사와 같은 역사 문제를 둘러싼 과제는 꼬리를 물고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3일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개최한 사도광산 추도식에는 일본 내 관계자 등 72명이 참가했다. 일본 정부를 대표해 참가한 인사는 지난해 차관급인 정무관에서 올해 국장급으로 격이 낮아졌다. 이날 행사에는 참가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추도사에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에 대해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 상황이었지만,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서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에 종사하셨다”고 언급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정부가 이번 추도식에 불참을 통보한 배경에 대해 “추도사에 한반도 출신 노동자의 ‘강제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표현에 대해 한일 양국의 접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한국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실었다.

앞서 12일에는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이 지난 해에 이어 한국 정부가 추도식에 불참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고 입장을 냈다. 이와야 외무상은 “가능하다면 한국 측도 참여하는 가운데 행사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한·일관계를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앞으로도 소통을 해나가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사도 광산을 ‘강제노동의 피해현장’으로 보는 입장이지만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아사히에 따르면 한 외무성 간부는 “강제성으로 선을 긋게 되면 앞으로도 타협점을 찾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한·일 양국 모두 추도식 문제를 양국 관계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억제하고 있는 모습이다. 외무성 간부는 “서로 로우키(low-key·절제된 방식)로 관리해 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아사히에 밝혔다.

민영 TV아사히에 따르면 추도식에 참가한 사도시 와타나베 류고 시장은 추도식 종료 후 “외교는 국가가 책임져야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로서도 한국 여러분과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교류를 추진하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교수는 “이재명 정권은 이 문제가 한·일 관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깊게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악화 원인은 되지 않는다”고 봤다. 다만 “양호한 한·일 관계가 플러스가 된다고 이 대통령의 설명할 수 있을 만한 일본의 경제협력 등이 뒤따르지 않으면 대일 자세에 대한 국민의 불만이 쌓여 추도식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