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젤리 시장은 SNS를 중심으로 한 먹방과 ASMR 콘텐츠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국내 젤리 시장 규모는 2023년 4473억 원 수준으로 오는 2029년에는 6317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시장의 성장세도 매섭다. Spherical Insights & Consulting에서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젤리 시장 규모는 2023년 227억 8000만 달러에서 2033년 665억 6000만 달러로 연평균 11.3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젤리는 카카오 원재료 값이 1년 사이 두 배 이상 급등해 초콜릿을 대체할 간식으로 떠오르면서 그 인기가 더욱 치솟고 있다. 특히 Z세대와 알파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맛의 경험’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젤리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달콤함을 넘어 ‘새콤한 젤리’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츄파춥스가 선보인 사워 젤리는 기존 단맛 중심의 젤리에 강한 산미를 더해 출시 초반부터 시장에 반향을 일으켰다. 세계 최초의 막대사탕 브랜드에서 만든 젤리답게 차원이 다른 달콤함과 새콤함의 균형 잡힌 맛과 쫄깃한 식감, 다채로운 색감이 오감을 자극하며 1020세대 사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페르페티 반 멜의 츄파춥스 마케팅 담당자는 “츄파춥스는 트렌드를 관통한 사워 젤리로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의 입맛을 사로잡았다”며, 앞으로도 오직 츄파춥스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맛과 식감의 제품을 지속 선보일 예정이다. 츄파춥스가 만들어가는 즐거움의 여정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