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미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석유화학·건설 업황이 둔화되며 지난 2분기(4∼6월) 국내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동반 악화됐다. 특히 기업 매출은 1년 반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한국은행이 10일 공개한 '2025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6067개의 2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0.7% 줄었다. 1분기(2.4%)보다 증가율이 3.1%포인트 떨어졌으며, 2023년 4분기(-1.3%) 이후 6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제조업(2.8%→-1.7%)이 비제조업(1.9%→0.3%)보다 매출 증가율 하락 폭이 더 컸다. 기업 규모별로도 대기업(2.6%→-0.6%)과 중소기업(1.4%→-1.3%) 모두 하락했다.
제조업은 유가 하락과 설비가동률 하락에 따른 수출액이 감소하면서 석유화학(-1.9%→-7.8%) 부문의 성장성 둔화가 두드러졌다. 기계·전기전자(5.9%→2.2%)도 AI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가치 제품군 수출 호조에도 전년 동분기 높은 매출액증가율(20.7%)에 따른 기저효과로 성장성이 떨어졌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운수업(5.6%→-0.5%)이 큰 폭으로 성장성이 하락했다. 해상운임지수 하락, 소액면세제도 폐지로 인한 전자상거래 감소 등의 영향이다. 도소매(5.0%→2.0%)도 철강 트레이딩, 에너지 관련 수입 등이 감소하며 성장이 둔화됐다.
한국은행이 10일 공개한 '2025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6067개의 2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0.7% 줄었다. 1분기(2.4%)보다 증가율이 3.1%포인트 떨어졌으며, 2023년 4분기(-1.3%) 이후 6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제조업(2.8%→-1.7%)이 비제조업(1.9%→0.3%)보다 매출 증가율 하락 폭이 더 컸다. 기업 규모별로도 대기업(2.6%→-0.6%)과 중소기업(1.4%→-1.3%) 모두 하락했다.
제조업은 유가 하락과 설비가동률 하락에 따른 수출액이 감소하면서 석유화학(-1.9%→-7.8%) 부문의 성장성 둔화가 두드러졌다. 기계·전기전자(5.9%→2.2%)도 AI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가치 제품군 수출 호조에도 전년 동분기 높은 매출액증가율(20.7%)에 따른 기저효과로 성장성이 떨어졌다.

[표=한국은행]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2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5.1%)은 지난해 2분기(6.2%) 대비 1.1%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7.1%→5.1%)은 하락했고 비제조업(5.1%→5.1%)은 그대로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6.6%→5.1%)은 하락했으나 중소기업(4.4%→5.0%)의 영업이익률은 상승했다.
제조업 중에서는 트럼프 관세 부과, 판촉 경쟁이 심화하면서 운송장비(7.6%→2.7%) 영업이익률이 급감했을 뿐 아니라 일부 기업 재고자산평가손실 인식에 따른 일회성 비용 때문에 기계·전기전자(10.2%→7.4%)의 이익률도 떨어졌다.
비제조업의 경우 운수업(9.1%→7.0%)이 해상운임 하락에 따라 고정비 부담이 늘어난 탓에 영업이익률에 타격을 받았다. 반면 전기가스업(3.2%→5.0%)은 매출원가인 연료가격이 안정을 찾아 이익률이 올랐다.

[표=한국은행]
재무 안정성 지표를 보면, 전체 기업의 2분기 부채 비율(89.8%)은 1분기(89.9%)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차입금 의존도(26.6%)는 직전 분기(25.0%)보다 상승했다.
문상윤 경제통계1국 기업통계팀장은 성장성 악화와 관련해 "미국의 품목별 관세가 철강·자동차 산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관세 조치 영향도 받고 있다"며 "석유화학·건설 등의 업황이 안 좋은 점도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3분기 전망과 관련해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아직 높기 때문에 상황을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석유화학 부문이 지속적으로 좋지 않아 부정적 영향이 있을 걸로 보인다"며 "반도체는 이번 분기에는 기저효과 때문에 일시적으로 부진한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해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상윤 경제통계1국 기업통계팀장은 성장성 악화와 관련해 "미국의 품목별 관세가 철강·자동차 산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관세 조치 영향도 받고 있다"며 "석유화학·건설 등의 업황이 안 좋은 점도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3분기 전망과 관련해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아직 높기 때문에 상황을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석유화학 부문이 지속적으로 좋지 않아 부정적 영향이 있을 걸로 보인다"며 "반도체는 이번 분기에는 기저효과 때문에 일시적으로 부진한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해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