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는 10일 1000여개 기업과 연구기관, 학계가 참여하는 대규모 협의체 'M.AX 얼라이언스'를 공동 출범했다.
M.AX 얼라이언스는 제조업 전반에 AI 기술을 융합해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제조 AI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이번 얼라이언스를 통해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AI팩토리 등 10대 분야에서 민간과 공공이 긴밀히 협력해 미래 제조 산업의 판을 새롭게 짜겠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는 그간 세계 최고의 제조 기업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기업은 부족한 상황이다. 제조 기업과 AI 기업간 협력도 미약한 수준이며 AI 모델개발에 필수적인 제조 데이터 역시 개별 기업이 자체 관리하는 데 그치고 있어 AI 기반 제조 혁신에 한계가 있었다.
M.AX 얼라이언스는 AI 팩토리, AI 제조서비스, AI 유통·물류,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자율운항선박, AI 가전, AI 방산, AI 바이오, AI 반도체 등 10개 분야별 얼라이언스로 구성된다. 각 얼라이언스에는 LG전자, 현대차 등 업종별 대표 기업, AI 개발기업, 반도체·배터리 등 부품·소재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여해 데이터 공유, 공동 기술개발 사업 등을 공동 추진한다.
AI 팩토리 분과의 경우 LG전자, 현대차, 포스코, 대한항공, SK에너지, LIG넥스원 등 대기업과 AI 설루션 기업, 로봇 기업, 학계,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해 2030년까지 AI 팩토리 500개 보급을 목표로 제조 특화 AI 개발에 나선다.
AI 제조서비스 분과는 2030년 제조업 AI 활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자율주행차 분과는 2028년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플랫폼 공급을 목표로 각각 활동한다. 휴머노이드 분과는 2029년 휴머노이드 연 1000대 이상 양산 체제를 구축하고 이마트, 롯데마트, 현대백화점 등이 참여하는 AI 유통·물류 분과는 2028년까지 지능화매장 테스트베드 구축을 추진한다.
정부는 얼라이언스 활동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방위 지원을 예고했다. 우선 내년도 산업부 AI 관련 예산을 얼라이언스 프로젝트에 최대한 배정하고 각 얼라이언스내 제조 기업- AI 기업 간, 제조 기업-소재·부품 기업 간 협업 과제 등을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달 국무회의를 통과한 산업부의 내년도 AI 예산은 올해 5651억원의 2배인 1조1347억원이다.
또한 국민성장펀드 등 민·관 펀드를 통한 자금 유입을 확대하고 제조협장 실증공간,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 등 AI 인프라도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국가 AI컴퓨팅센터 등과도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적극 모색할 예정이다.
아울러 AI 모델 개발 및 AI 적용 제품·서비스의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을 발굴·개선하고 AI 융합 제품과 AI 데이터 처리 등과 관련된 표준 마련 등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산업인공지능전환촉진법' 제정도 얼라이언스 내 기업들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1000개가 넘는 대표 기업 등이 자발적으로 얼라이언스에 참여한 것은 제조 AX는 기업의 생존 문제라는 절박한 인식 때문"이라며 "우리가 가진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업 간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해 2030년 제조 AX 1위 국가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얼라이언스 명칭 'MAX'가 '가장 위대한'을 뜻하는 라틴어 '막시마(Maxima)'에서 유래한 만큼 정부도 관계 부처와 적극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