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전용면적 59㎡의 청약 경쟁률이 4년째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84㎡보다 더 높았다. 소형 평형 강세 흐름이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9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8월25일 모집공고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에서 전용 59㎡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9.2대 1를 기록했다. 84㎡ 경쟁률인 5.5대 1의 3배를 웃돌았다. 이 기간 수도권을 보면 59㎡가 28.3대 1를 보였지만, 84㎡는 4.8대 1에 그쳤다.
59㎡ 경쟁률 강세는 2022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경쟁률은 59㎡가 9.0대 1, 84㎡가 5.9대 1로 처음 경쟁률 역전이 발생했다. 이후 2023년에도 비슷한 수준이 이어지다 지난해 59㎡ 27.2대 1, 84㎡ 10.3대 1로 격차가 본격 확대됐다.
공급 추세를 보면 수도권 59㎡ 공급 물량은 2020년의 경우 모집공고 기준으로 7월까지 8934가구였지만, 올해 같은 기간에는 3319가구로 약 40% 감소했다. 반면 84㎡는 1만5930가구에서 1만2628가구로 줄어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59㎡ 공급 물량은 줄었지만 수요가 견고해 경쟁률 격차가 커진 셈이다.
이런 현상은 대출 규제와 고금리 상황에서 자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 평형이 유리하고, 건설사들이 59㎡에도 드레스룸, 팬트리와 같은 특화 공간을 적용하며 상품성을 높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최근 4년간 청약 데이터를 보면 무게중심이 59㎡로 뚜렷하게 이동했다"며 "소형 평형은 시장의 새로운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