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지난 1분기에 이어 올해 2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 1위에 이름을 올렸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서 독주하고 있는 SK하이닉스가 D램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이면서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
5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업계의 매출 규모는 309억1600만달러(약 43조원)로 집계됐다. 전 분기보다 17.3% 증가한 수준으로, D램 계약 가격 상승과 HBM 출하량 증가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전체 D램 시장 점유율에서는 HBM 지배력이 업체 간 실적을 좌우했다. 옴디아는 SK하이닉스의 D램 점유율(매출 기준)이 지난 1분기 36.9%에서 2분기 39.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분기 연속 1위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4.4%에서 33.3%로 추락했다. 이 기간 양사 간 격차는 2.5%포인트에서 6.2%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양사는 매출 규모는 19억 달러 이상 차이가 났다. 올해 2분기 SK하이닉스는 매출은 122억2600만달러, 삼성전자는 103억달러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분기 사상 처음으로 삼성전자를 D램 점유율에서 추월했다. 삼성전자가 1992년 D램 시장서 세계 1위를 기록한 이후 33년 만이다.
업계에선 SK하이닉스가 연간 글로벌 D램 시장 1위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SK하이닉스는 50% 이상의 점유율로 HBM 시장 최대 공급자 지위를 가졌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주요 빅테크 대부분에 HBM 물량을 공급하는 중이다. 올해 HBM 물량을 이미 '솔드아웃(완판)' 했으며, 내년 물량 계약도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미국 마이크론이 내년 최첨단 HBM 공급물량의 완판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향후 글로벌 메모리 빅3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엔비디아에 HBM을 주력으로 공급해 온 SK하이닉스가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상반기 '내년 HBM 물량이 이미 솔드아웃(완판) 됐다'고 했으나 올해는 아직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