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A 2025]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개막…삼성·LG 'AI 홈' 최강자 가린다

  • 삼성, 실시간 맞춤형 경험 '앰비언트 AI'로 AI 홈 구현

  • LG, 삶과 기술 조화 위해 'LG 씽큐 온'으로 'LG AI홈' 펼쳐

오는 5일부터 9일현지시간 IFA 2025가 열리는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를린Messe Berlin의 시티큐브 베를린City Cube Berlin에 위치한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AI 홈 리빙 존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5일부터 9일(현지시간)까지 'IFA 2025'가 열리는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를린(Messe Berlin)'의 '시티큐브 베를린(City Cube Berlin)'에 위치한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모델들이 'AI 홈 리빙' 존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유럽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국제가전박람회(IFA)가 5일(현지시간) 개막했다. 인공지능(AI) 가전의 확장 버전인 'AI 홈'이 업계 핵심 어젠다로 부상한 가운세 시장을 선도 중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기술 역량을 총동원해 미래 생활 혁신 가능성을 제시할 방침이다. 

두 회사는 5~9일 독일 베를린 박람회장 '메세 베를린(Messe Berlin)'에서 열리는 IFA 2025에 각각 대형 전시장을 꾸리고, 더 강력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AI 홈 테크를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AI 홈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삼성전자의 AI 제품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춰 딱 필요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슬로건도 'AI 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 (AI Home - Future Living, Now)'로 정했다.

사용자의 눈에 띄진 않지만 온도∙조명∙소리∙움직임 등 사용자 환경과 행동 패턴까지 파악하고 이해하며 자연스럽게 우리 일상의 일부가 돼 실시간으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앰비언트(Ambient) AI'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삼성 'AI 홈'에서 누릴 수 있는 4가지 핵심 경험은 △쉽고 편리함(Ease) △나와 가족의 건강과 안전(Care) △시간과 에너지 효율(Save) △강력한 보안(Secure)이다.

전시존에서는 삼성 AI 홈의 4대 핵심 경험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수면 데이터 분석으로 나에게 맞춘 최적의 수면 관리 △나의 식습관 데이터와 취향에 맞춘 레시피 추천 △멀리 떨어진 부모님의 활동데이터로 안부 확인 △나의 패턴에 맞춘 에너지 절약 모드 등이 전시돼 방문객의 눈길을 끌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AI 홈 인사이드' 존에서 AI 홈이 어떻게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지 △영상 디스플레이 제품의 '비전(Vision) AI' △가전 제품의 '비스포크 AI' △모바일 제품의 '갤럭시 AI'를 통해 알려준다.


 
LG전자는 IFA 2025 전시관 입구에 AI홈 허브 씽큐 온의 지휘 아래 다양한 가전들이 서로 연결되며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 하는 LG AI홈을 형상화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 연출 공간을 마련했다 사진LG전자
LG전자는 'IFA 2025' 전시관 입구에 AI홈 허브 '씽큐 온'의 지휘 아래 다양한 가전들이 서로 연결되며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 하는 'LG AI홈'을 형상화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 연출 공간을 마련했다. [사진=LG전자]

LG전자는 'LG 씽큐 온(ThinQ ON)'을 중심으로 고객의 삶과 교감하며 조화를 이루는 'LG AI 홈'의 본격적 시작을 알린다. 주제도 삶과 기술의 조화를 강조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LG AI Appliances Orchestra)'로 정했다.

전시장 내부 ‘AI 홈 솔루션 존’에서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배경으로 고객들이 실제 일상에서 실현할 수 있는 AI홈 경험을 제시한다. AI 홈 플랫폼 LG 씽큐 AI 기반으로 기존 가전에 새로운 AI 기능을 지속 업그레이드하는 '씽큐 업', 고장·이상징후 등 제품 상태를 손쉽게 관리하는 '씽큐 케어' 등 서비스를 시연한다.

사용자가 주방에 들어서며 "영양 균형이 좋은 메뉴를 추천해줘"라고 말하면 LG 씽큐 온이 레시피를 검색 및 추천하고, 오븐 예열 등 필요한 기기를 자동으로 준비하는 식이다. 집 안 조명과 온도, 음악까지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슈필라움’을 통해 집과 모빌리티를 넘나들며 연결되는 LG AI 홈의 확장판도 살펴볼 수 있다. LG 씽큐 온을 활용하면 집 안에서 슈필라움의 광파오븐을 미리 예열하거나 홈 캠을 통해 집 안 상황을 확인하고 로봇청소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집과 차량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람객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관람객이 1인 가구, 신혼부부, 기숙사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구성된 시나리오를 따라 전시장 곳곳에 설치된 LG 씽큐 온과 가전을 사용하면, 개인별 체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일상 분석 리포트를 제공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