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4일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인공지능(AI) for S&T 국가전략(가칭)' 수립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에너지 등 국가 전략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 과학기술원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AI를 활용한 과학기술 연구 개발 혁신을 위한 정부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연구개발 과정에 AI를 활용하면 연구개발 속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출연연과 과기원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출연연과 과기원이 AI기반 융합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제공하며, 데이터·인프라 개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구혁채 1차관 주재 '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TF’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TF는 출연연, 과기원, 대학, 산업계 전문가가 참여한다. TF는 △도메인별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로드맵 마련 △공동 활용 데이터·인프라 체계 구축 △연구 전 주기 자율 수행을 위한 기반 마련 등을 검토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바탕으로 과기정통부는 'AI for S&T 국가전략' 수립해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for S&T를 국가 과학기술 혁신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아, 출연연과 과기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