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다자외교 무대 데뷔…'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 부각

  • 기념촬영·행사 관람 등 북·중·러 정상 함께 등장

  • 열병식서 주애 모습 포착 안 돼…리설주 없이 입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기념 대규모 열병식에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부터)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기념 대규모 열병식에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행사에 참석하며 다자외교 무대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특히 중국, 러시아 두 강대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정상국가' 지도자로서 이미지를 부각해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9시 18분께 검은색 방탄 리무진을 타고 베이징 고궁박물관 내 돤먼(端門)에 도착했다. 평소 자주 착용하던 인민복이 아닌 검은 양복에 흰 셔츠, 밝은 금색 넥타이 차림이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입장 순서부터 눈길을 끌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수비안토 프라보워 인도네시아 대통령에 앞서 뒤에서 세 번째 순서로 레드카펫을 밟았다. 이후 김 위원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푸틴 대통령과 함께 다수의 장면에서 한 프레임에 등장했다.

시 주석은 다른 국가 정상들과는 한 손으로 가볍게 악수했지만, 김 위원장과는 두 손을 맞잡고 손등을 토닥이는 모습을 보이며 친밀한 분위기를 드러냈다. 기념촬영 때 김 위원장은 시 주석을 중심으로 푸틴 대통령과 함께 양옆에 섰으며, 톈안먼 망루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두 정상과 나란히 걷고 담소를 나눴다. 시종일관 김 위원장 얼굴에선 미소가 가시지 않았다.

본행사에서는 시 주석을 가운데 두고 김 위원장이 왼쪽, 푸틴 대통령이 오른쪽에 선 상징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북·중·러 정상이 공식 석상에 함께 선 것은 냉전 종식 이후 처음이다. 행사 중 시 주석은 통역을 통해 김 위원장에게 무언가에 관한 설명을 건넸고, 김 위원장은 이를 경청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다만 전날 조선중앙통신 사진을 통해 동행 사실이 확인된 딸 주애는 열병식 현장에서 보이지 않았다. 또 여러 정상이 배우자와 함께 행사장에 들어선 것과 달리 김 위원장은 배우자 리설주 여사 없이 홀로 입장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 기간 다른 국가들과 정상외교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김 위원장이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만나 대화를 나누고, 직접 방북 초청을 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