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접수된 냉난방 불편 민원은 총 28만3972건으로 드러났다. 이는 고객센터로 접수된 불편 민원 전체 중 75.5%에 달한다.
지난해 접수된 냉난방 민원을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오후 6∼8시)에 '덥다'(62만3969건)와 '춥다'(3만5538건) 민원이 모두 가장 많았다.
특히 호선별로는 수송 인원이 가장 많은 2호선 냉난방 민원(35.0%)이 집중됐다. 7호선(20.6%)과 5호선(12.6%)이 뒤를 이었다.
자신이 임산부라고 밝힌 B씨는 "임산부라 몸에 열이 많아서 더운 건지 모르겠지만, 너무 덥다. 특히 임산부 자리는 문 옆이라 공기가 엄청 나게 뜨거운데 열차는 찜통이 따로 없다"고 전했다.
반면 7호선을 타고 다닌다는 C씨는 "거의 끝에서 끝으로 출퇴근을 하고 있는데 너무 추워서 겉옷을 들고 다닌다"며 "사람이 많고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 트는 건 알겠지만 이렇게 빵빵하게 에어컨을 틀어도 되나 싶다"고 말했다.
지하철 객실 내 냉난방 취급은 개별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자동 조절되고 있다.
이때 열차 내 냉방 온도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일반칸은 24도, 약냉방칸은 25도로 설정한다.
좌석 위치에 따라서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도 알아두면 편리하다.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며,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추운 승객은 일반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칸은 1·3·4호선 4·7번째 칸, 5·6·7호선은 4·5번째 칸, 8호선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서울교통공사는 연합뉴스를 통해 "쾌적한 지하철 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지만 열차 내 긴급민원 처리를 비롯해 질서 저해자 등 긴급한 민원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냉난방 민원 제기는 자제할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