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용법 표시 약봉투·공영장례'...서울시, 정부혁신 최초·최고정책 2관왕

  • 7개 선정기관 중 최초·최고 사례 동시 수상은 '서울시' 유일

서울시청 청사 사진서울시
서울시청 청사.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제4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선정기관 인증패 수여식에서 ‘약 봉투에 복용법 표시’로 국내 최초 사례 인증패, ‘공영장례’로 국내 최고 사례 인증패를 동시에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열린 수여식에서는 김태균 행정1부시장이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인증패를 받았다. 이번 7개 선정 기관 중 ‘최초’와 ‘최고’ 사례를 동시에 인정받은 기관은 서울시가 유일하다. 

‘국내 최초 사례’로 선정된 서울시 ‘약봉투에 복용법 표시’는 2012년 시민이 제안(제3회 좋은정책 제안, ‘병원 처방전과 약봉투에 약정보와 복용법 제공’)한 아이디어를 서울시가 받아들여 실제 정책으로 발전시킨 사례다. 시는 ’13년 ‘약 봉투를 통한 복약 안내 활성화 사업’으로 계획하고 서울시립병원, 서울시약사회 등과 협업해 적극적으로 실행에 옮겼다. 

서울시가 선제적으로 시작한 이 사례는 보건복지부가 관련 법령을 개정하면서 현재는 약국에서 약 정보가 인쇄된 약봉투를 받는 것이 보편화됐다. 

‘국내 최고 사례’로 선정된 서울시 ‘공영장례’는 무연고 사망자 장례 지원을 위한 전문적·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을 통한 새로운 복지정책모델로 국내 최고 사례로 인정받는 성과를 거뒀다. 

서울시는 고독사·가족 해체·빈곤 등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무연고 사망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의 마지막을 사회가 함께 책임지는 ‘공영장례 제도’를 2018년 도입했다. 
   
현재 서울시는 장례 과정 전반인 염습, 수의, 입관, 운구, 화장, 봉안, 장례의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며 시립승화원 전용 빈소를 활용해 체계적인 장례 절차를 제공한다. 또한 사단법인 ‘나눔과나눔’과 함께 공영장례 상담·지원센터를 운영하며 24시간 365일 장례 상담을 제공함은 물론 공무원 대상 장례 매뉴얼 제작, 교육, 현장 애도 지원, 자원봉사자 섭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추모 공간도 준비 중이며 2025년 추석부터는 디지털 추모비 ‘기억의 별빛’을 운영해 고인 이름과 생전 기록 등을 디지털 스크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이번 정부혁신 ‘최초·최고 사례’ 동시 선정은 서울시가 시민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혁신을 추진해 온 결과”라며 “앞으로도 시민 눈높이에서 필요한 정책을 발굴하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