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불과 집중호우 등 잇따른 재난 피해 속에 경남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재난관리 체계와 예산 등 전면 재편을 예고했다.
1일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서부경남의 집중호우 피해가 보여주듯 과거 방식의 재난대책으로는 더 이상 대응이 불가능하다”며 “도로·하천 관리, 산사태 예방 등 SOC 분야의 사전예방 투자를 과감히 늘리고, 재난관리 조직과 인력, 예산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중앙정부와 협력해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동시에 과학재난관리센터 설립을 서두르겠다”며 “재난 대응 패러다임을 복구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재난의 여파는 지역경제에도 직격탄을 날렸다. 부산은 늦더위 특수를 누리며 해수욕장에 1000만 관광객이 몰렸지만, 산청·합천 등 서부경남 주요 휴양지는 피서객이 절반 이상 줄었다.
산청 대원사 계곡은 지난해 여름 8만 2000여 명이 찾았으나 올해는 4만여 명에 그쳐 반토막이 났다. 합천 황강레포츠공원과 봉산수상레저파크 역시 이용객이 30~40% 이상 감소했다.
설상가상 수해 복구에 행정력이 집중되면서 대형 축제도 줄줄이 취소됐다.
산청한방약초축제는 코로나 시기에도 이어왔지만 올해는 전면 취소됐고, 합천 대야문화제·군민체육대회 등도 모두 중단됐다. 진주의 M2페스티벌을 비롯해 각 지자체의 여름 관광행사 역시 취소나 축소를 피하지 못했다.
피서지 상권과 축제 의존도가 큰 자영업자들은 생계 위기에 내몰렸다.
산청 시천면의 한 펜션 업주는 “이용객이 절반 이상 줄었다. 한 철 장사인데 타격이 너무 크다”며 “군에서 하루빨리 복구 지원을 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합천의 한 식당 업주도 “축제 취소는 당연하지만 지역경제가 더 침체될까 걱정된다”며 “재난으로 무너진 일상을 회복할 경제 활성화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재난 피해가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재해예방 투자 확대와 함께 관광·문화산업 지원책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남도는 이번 재난을 계기로 재난관리 예산 구조와 조직을 개편하는 한편, 축제 취소와 관광객 감소로 타격을 입은 지역경제 회복 방안도 함께 마련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