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중국과 베트남에서 총 4658만 달러(약 632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 성사를 이끌어내며, 무역수지 1위·수출 2위 국가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했다.
동시에 상하이에 해외사무소를 개소하고, 베트남 중부 후에시와 우호협력협정을 체결하면서 ‘충남형 글로벌 네트워크’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31일 충남도에 따르면 김태흠 지사는 22일부터 중국과 베트남을 순방한 뒤 30일 귀국했다. 이번 출장에서 도는 도내 30개 수출 중소기업과 함께 시장개척단을 꾸려 27일 호치민, 29일 하노이에서 비즈니스 매칭데이(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그 결과 359건, 885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이 이뤄졌으며, 이 중 84건(3358만 달러)의 수출 MOU가 체결됐다.
앞서 25일에는 상하이에서 충남 중국사무소 개소식이 열렸으며, 이를 계기로 130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도 추가로 성사됐다. 도는 이번 출장으로 중국과 베트남에서 총 4658만 달러의 새로운 수출 판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상하이사무소 개소는 충남의 대중국 전진기지 구축을 의미한다. 도는 이번 개소로 미국 로스앤젤레스, 일본 도쿄, 독일 프랑크푸르트, 인도 뉴델리,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베트남 하노이에 이어 7개 해외사무소 운영 체제를 완성했다.
베트남에서는 교류 거점을 중부 지역까지 확장했다. 충남도는 옛 수도 후에시와 우호협력협정을 맺고 남(호치민)·북(박닌)에 이어 중부까지 연결되는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도는 이를 통해 베트남 전역을 아우르는 ‘교류 삼각축’을 완성했다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출장 기간 동안 중국 장수성 쉰쿤린 성장, 상하이 궁정 시장, 베트남 호치민 응우옌 반 득 인민위원장, 다낭 르엉 응우옌 민 찌엣 인민위원장, 후에시 응우옌 반 푸엉 인민위원장 등 양국 주요 지방정부 수장을 잇따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내년 열리는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를 홍보하며 초청장을 전달했고, 각국 인사들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또 연암대와 호치민 농람대, 떤따오대 등과 스마트팜 교육 협력을 위한 MOU 체결에도 동행하며, 농업 분야 교류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 출장으로 충남의 수출 1위 국가(베트남), 2위 국가(중국)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해외 거점을 확장하는 기반을 다졌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업 수출 확대와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