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동결' 금통위, 신성환 인하 소수의견…3개월 내 인하는 5명

  • 이창용 총재 8월 한은 금통위 통방회의 기자회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8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가운데 신성한 금융통화위원이 기준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냈다. 금통위원 6명 가운데 5명은 3개월 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신 금통위원이 기준금리를 2.25%로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신 위원의 소수 의견 배경과 관련해 "기준금리 인하가 주택가격 상승을 일으킬 위험은 있지만 현재 상당히 주택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졌고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높으니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해 경기를 부양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금통위원 5명의 동결 결정 배경은 "정부의 6·27 정책이 상당한 효과를 나타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택가격이 충분히 안정됐다고 보기 힘들고 정부가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면 정책 공조를 이뤄야 하는 만큼 미국과 금리 격차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금리를 동결하고 대내외 여건을 지켜보자는 입장을 나타냈다"고 언급했다.

금통위원의 포워드 가이던스(3개월 내 기준금리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는 "6명 중 5명은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 나머지 1명은 3개월 후에도 2.5% 수준에도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5명은 현재 잠재성장률 수준보다 낮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상·하방 리스크와 금융안정을 점검해나가자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나머지는 1명은 향후 입수되는 데이터를 보겠지만 금융안정 리스크가 충분히 해소되는 데는 충분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3개월 내에는 경제상황을 점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