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이하 에이펙) 회원국들은 앞으로 문화창조산업 분야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최휘영 장관이 주재한 '2025 에이펙 문화산업고위급대화' 본회의에서 에이펙 회원경제체 참석자들이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고 27일 밝혔다.
공동 성명에는 △문화창조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에 대한 공동 인식 △디지털·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창작과 유통의 혁신 촉진 등이 포함됐다. 모든 회원경제체가 공동성명에 대한 지지를 표했다.
최 장관은 이날 공동성명과 관련해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문화창조산업이 역내 인적 교류를 활성화하고 관광을 장려하는 등 문화 경제 협력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문화창조 산업의 협력에 힘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또한 “각 나라가 쉽게 접근하고,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고 통할 수 있는 게 문화다”라며 “산업적으로도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성장 동력으로서 모두가 인정하는 새로운 분야이기에 역내에 공동 성장과 번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더 활발하고 구체적인 협력 모델들을 만들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문화창조산업, 번영을 위한 새로운 지평(CCIs: New Horizons for Prosperity)’을 주제로 경주에서 열린 이번 고위급대화는 1989년에 창설된 에이펙 역사상 처음으로 문화산업을 주요 의제로 논의한 자리다. 첫 회의임에도 일본 아베 도시코 문부과학성 대신을 비롯해 칠레 카롤리나 아레돈도 문화예술유산부 장관, 인도네시아 파들리 존 문화부 장관, 말레이시아 티옹 킹 싱 관광예술문화부 장관, 페루 파브리시오 발렌시아 히바하 문화부 장관 등 고위급 정책 담당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번 고위급 대화에서 참석자들은 케이(K)-컬처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최 장관은 “케이팝, 드라마, 영화, 게임 등을 포함한 산업적 측면에서의 성과들을 이어나가기 위한 대화가 많았다”며 “우리의 케이컬처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하거나 공동사업을 통해서 인적 교류를 확대하는데 관심이 많았다”고 밝혔다.
본회의에서는 올해 에이펙의 주요 의제인 ‘연결(Connect)’, ‘혁신(Innovate)’, ‘번영(Prosper)’이라는 3개 분과(세션)를 통해 문화산업의 미래를 조망했다. 문체부는 한국의 문화산업 육성 정책 방향을 소개하며 문화콘텐츠가 연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뷰티, 음식(푸드), 관광, 패션, 정보기술(IT), 자동차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초청연사로 함께한 권한슬 스튜디오프리윌루전 대표와 이교구 수퍼톤 대표가 AI 기술과 관련해 발표했다.
최 장관은 “이번 공동성명은 21개 회원경제체의 합의를 통해 이뤄낸 것으로 이를 토대로 지속적인 논의가 이어나갈 것”이라며 “내년 의장국인 중국에서 열리는 에이펙에서도 경제 회원체들과 긴밀한 소통을 이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