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이 지난 25일 경남 남해 앞바다에 이어, 하루 만인 26일에 전남 여수 가막만과 전남 남해에 추가로 예비특보를 발표함에 따른 조치다. 주의 단계는 예비특보 해역이 2개 이상 발생하거나 적조주의보 해역이 1개 이상일 때 발령된다. 적조 위기 경보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로 이어진다.
수과원은 지난 7~8월 호우로 인해 코클로다니움이 성장하기 적합한 24~27℃로 수온이 유지되면서 적조가 유입되기 좋은 여건이 마련됐다고 보고 있다. 향후 인접 해역(완도~통영) 확산 가능성도 높다고도 전망했다.
해수부는 종합상황실 운영, 방제물질 투입, 예찰 강화, 확산 추이 분석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적조정보시스템을 통해 관계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히 전파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