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장동혁 의원이 당대표로 선출됐다. 이 결과를 보며 '이제 보수정당에도 정치다운 정치가 시작되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왜냐, 장동혁은 찬탄에서 반탄으로 갈아타는 결단을 보여준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 한 가지 사실만으로도 그는 정치를 할 줄 아는 인물이라는 점을 증명했다.
정치는 순간의 판단이 전부다. 시대가 어디로 흐르는지, 민심이 어디로 기우는지, 그 방향을 단번에 포착해 움직이는 것이 정치다. 그런데 보수 진영에는 늘 눈치만 보고, 영남 패권에 기댄 채 무사안일에 빠진 인물들이 너무 많았다. 그들은 민주당이 밀어붙일 때마다 거수기 노릇을 하고, 권력자가 오판을 해도 늘 끝까지 끌려가면서 함께 침몰했다. 그 결과가 오늘날 보수의 몰락이다.
그런데 장동혁은 달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라는 초유의 사태에서, 그는 한동훈 비대위 최고위원직을 내던졌다. 이 결정 하나는 한동훈 지도부를 무너뜨렸고, 반탄파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다. 그 판단력과 통찰력 덕분에 보수는 다시 숨을 고를 기회를 얻었다. 정치란 바로 이런 것이다. 계산기를 두드리며 머뭇거리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 앞에서 '예'와 '아니오'를 분명히 말할 줄 알아야 한다. 장동혁은 그걸 해냈다.
반대로 김문수를 보라. 그는 이재명과의 대선토론에서 절대적으로 밀렸다. 준비가 안 되어 있었고, 논리도 허술했다. 보수의 이름으로 나선 사람이 범죄 혐의를 받고 있는 야당 대표와 맞붙어 이렇게 무기력할 수 있단 말인가. 보수는 그 순간 직감했다. "김문수, 너는 아니다." 원래 정치란 싸움이다. 적어도 상대방과 맞붙어 흔들리지 않는 기개와 언변은 있어야 한다. 김문수에겐 그것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한동훈은 더 실망스러웠다. 윤석열을 배반하고 찬탄으로 돌아선 순간, 우리는 그를 정치가가 아니라 그냥 법률가, 기껏해야 보좌관 정도로 보게 되었다. 정치는 책상 위 판례집 들여다보는 게 아니다. 역사의 변곡점에서 민심과 권력의 균형을 읽어내는 눈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한동훈은 그런 판단력이 빵점이었다. 그는 법무부 장관일 때, 남이 깔아준 무대에서 말 몇 마디 잘하는 걸로 환호를 받았을 뿐, 스스로 길을 열어가는 정치적 능력이 없었다. 우리는 단언한다. 한동훈은 당대표감도 아니고, 대통령감은 더더욱 아니다. 남의 뒤에 서서 원고나 읽는 보좌관이 제격이다.
정치는 결국 사람이다. 시대의 요구와 민심의 변화를 감각적으로 읽어내고, 거기에 맞는 결단을 내리는 사람만이 큰 정치인으로 남는다. 장동혁이 바로 그런 인물이다. 그는 충청 출신 최초의 보수당 대표라는 역사적 상징성을 넘어, 영남 패권 구조에 균열을 낸 정치적 결단을 보여주었다. 그 자체로 보수 정당의 판을 바꾼 것이다.
앞으로 민주당의 전방위 공세는 거세질 것이다. 특검을 앞세워 야당 지자체장들에게 내란 프레임을 씌우고, 보수의 씨를 말리려 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지도자는 눈치 보지 않고, 사실과 원칙을 들이밀며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영남 출신 정치인들이 늘 보여준 무기력한 거수기 자세로는 민주당의 폭주를 막을 수 없다. 장동혁은 계엄 선포라는 초유의 위기에서 이미 자신의 정치적 결단력을 증명했다. 앞으로도 그는 위기마다 당을 살려낼 것이다.
그래서 말한다. 장동혁이 최고다. 그는 정치의 본령이 무엇인 지를 아는 사람이다. 그는 상황이 바뀌면 입장도 바꿀 줄 아는 유연함과 동시에, 그 선택이 당을 어디로 이끌지 정확히 계산할 줄 아는 현실 감각을 지녔다. 그것이야말로 정치 지도자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이다.
보수정당이 살아나려면 더 이상 영남의 낡은 패권정치에 기대서는 안 된다. 충청과 수도권, 나아가 전국으로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하다. 장동혁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는 이미 김문수의 무능, 한동훈의 미숙함을 뚫고 당권을 거머쥐었다. 앞으로도 그는 당을 새로운 길로 이끌 것이다.
오늘 다시 한번 확신한다. 장동혁이야말로 보수정치의 새 판을 짤 지도자다. 그는 정치할 줄 아는 사람이다. 그리고 정치에서 살아남는 자, 역사를 남기는 자는 결국 그런 사람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