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한국이 안보는 미국에, 경제는 중국에 밀착한다는 ‘안미경중(安美經中)’에 선을 그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강연에서 ‘혹자는 한국이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고 경제적 실익은 다른 곳에서 취한다는 의문을 제기한다’는 질문에 “한국이 과거처럼 이 같은 태도를 취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됐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에 대한 강력한 견제, 심하게 말하면 봉쇄 정책을 본격 시작하기 전까지 한국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입장을 가져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돌아봤다.
이어 “최근 몇 년 사이 자유 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진영 간 공급망 재편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미국의 정책이 명확하게 중국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갔다”며 정세 변화에 대해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제는 한국도 미국의 기본적인 정책에서 어긋나게 행동하거나 판단할 수 없는 상태”라며 “(중국의 경우)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데서 생겨나는 불가피한 관계를 잘 관리하는 수준으로 유지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대통령은 “그런데 미국도 중국과 기본적으로 경쟁하고 심하게는 대결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협력할 분야에서는 협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계에 대해 “안보, 경제, 첨단기술의 세 가지 기둥 위에 우뚝 선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이라고 규정한 뒤 “같이 갑시다”라고 말하며 연설을 마쳤다.
일본에 대해서는 “한·미 동맹의 새로운 역사에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파트너가 일본”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한·미·일 협력을 긴밀히 다지면서, 3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공동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방미를 통해 이 대통령이 강조해 온 국익중심 실용외교가 구호를 넘어 실질적인 성과를 낼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익중심 실용외교는 굳건한 한·미 동맹과 한·미·일 공조를 바탕에 두되 가치보다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중국·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