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공들이고 있는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된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18일 국무회의에서 광주시의 ‘AI 2단계 실증밸리 조성사업’ 계획안이 심의, 의결됐다.
이 사업은 국무회의 의결로 사실상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면제가 확실해지면서 내년부터 5년간 6000억원(국비 3600억원, 시비·민간 2400억원) 규모의 대형 AI프로젝트가 광주시 전역에서 추진될 전망이다.
광주시는 이번 주 안에 총괄위원회의 심의가 진행돼 예타 면제가 확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시민 체감형 연구개발(R&D)과 생활 속 실증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모빌리티와 에너지 분야, 지역 전략산업과 융합을 통해 광주형 AI 생태계를 완성하겠다는 구상이다.
2020년부터 5년간 4300억원을 들여 구축한 국가AI데이터센터,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의 AI집적단지 조성 1단계 시설을 기반으로 2단계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이를 통해 자동차 산업 전환, 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거점 도시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으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1조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내년에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지정 신청과 함께, 규제 완화·세제 지원 등을 포함한 ‘AI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나서고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재명 정부와 함께 확실한 성과를 만들어 내겠다”면서 “AI 실증도시 광주를 실현해 전국 어디에서도 경험하지 못한 첨단 도시혁신을 시민과 함께 체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