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연휴 '택배 없는 날' 운영… 택배사별 휴무일은 '제각각'

  • CJ·한진 14~15일 롯데·로젠 15~17일 우체국 14~18일

  • 소상공인 "매출 타격 우려" 반발도

  • 쿠팡·SSG닷컴·컬리는 정상 운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광복절 연휴 기간 주요 택배사들이 '택배 없는 날'을 운영한다. 지난해까지는 8월 14일에 일괄적으로 휴무했지만, 올해는 택배사별로 휴무일이 달라져 사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11일 택배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과 한진택배는 오는 14~15일 배송을 전면 중단한다. 두 회사 모두 13일 접수된 물량까지만 휴무 전 정상 처리하고 14일 이후 집하분은 16일부터 순차적으로 배송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와 로젠택배는 광복절 당일인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 동안 휴무에 들어간다. 우체국소포는 14일부터 18일까지 닷새간 휴무를 시행하며, 13일 휴무 전 배송될 물량 집하를 마감한다. 다만 18일은 선택 근무일로 지정해 일부 위탁배달원은 정상 근무한다.

주요 택배사가 일제히 휴무에 들어가면서 업계는 연휴 전후로 택배 물량이 몰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휴무 직전인 13~14일과 업무가 재개되는 16~19일 사이에는 주문량이 급증해 배송 지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택배사들은 고객들에게 발송 지연 가능성을 사전 안내한 상태다. 특히 냉장·냉동식품이나 신선식품처럼 유통기한이 짧은 상품의 경우 수령 시점을 반드시 확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다만 쿠팡 로켓배송과 SSG닷컴 쓱배송, 컬리 샛별배송 등 자체 물류망을 갖춘 서비스는 평소와 동일하게 운영한다.

택배 없는 날은 2020년 코로나19 초기 폭증한 물량과 잇따른 택배기사 과로사 문제가 불거지면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됐다. 같은 해 고용노동부와 한국통합물류협회, 주요 택배사, 노조가 참여한 협의를 통해 제도가 도입됐다. 합의안에는 혹서기나 명절 성수기 전후에 자율적으로 휴무를 실시해 기사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킨다는 취지가 담겼다.

일각에선 비판도 나온다. 일괄적인 휴무일 지정이 일할 권리를 침해한다는 이유에서다. 쿠팡파트너스연합회는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 위탁 배송기사(퀵플렉서)는 주 5일 근무 체계로 이미 자율 휴무가 가능하다"며 "강제 휴무는 하루 수입을 없애 생계를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소상공인들은 매출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같은 날 한국플랫폼입점사업자협회는 성명을 통해 "모든 택배 운송이 중단되면 온라인 영세상공인 매출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며 "폭염 속 건강권 보장 취지에는 공감하나 모든 배송을 강제로 멈추는 방식은 소비자 선택권과 온라인 유통 흐름에 심각한 제약을 준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